> 역사와 문화 > 향토사 자료

글번호 제 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19   신안군의 방언 관리자 2006/3/2 5500


    신안군의 방언-신안문화원

    (1) 서 설
    어느 한 민족의 언어는 그 민족이 지니고 누려 온 정신문화의 특수성과 보편성을 규명하는데 매우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제론할 필요도 없이 한 민족의 언어는 그 민족이 정신문화를 가꾸고 꽃피우는 기본적 자산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에서 언어는 단순한 의사전달의 방편인 것이 아니라 본질적으로 그 민족과 혈연적인 인과관계에 놓이면서 문화창조의 架模로서 작용한다.
    오늘날 우리 나라는 고도 산업사회에 접어들게 됨에 따라 선진조국의 건설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 고도 산업사회에 따른 물질문명의 급속한 팽창으로 인하여 생활양식의 급속한 변천과 전통문화 유산의 사장등이 심각한 문제예상되고 있다. 따라서 우리군의 언어조사 연구에 따르는 각 읍면의 방언자료는 국어의 특성규명은 물론 국어사의 제구성에 필요한 기초적 자료가 되기 때문이며 나아가서 언어사용의 지역간 차이는 명확히 파악하여 궁국적으로 사회통합과 결과를 다지는데에도 중요성을 지니기 때문이다.
    조사의 순서는 어휘농사, 음식, 가옥, 의복, 인체 육아, 인륜, 경제, 풍물, 식물, 자연상태, 동작, 문법에서는 대명사, 조사, 경어법 시재 사동 피동 연결되어 보조용어 부사등이다.









    2) 신안군의 방언
    구 분 표 준 어 방 언
    가옥 살강이 사랑
    〃 시렁 시렁
    〃 선반 선반
    〃 서랍 빼닫이
    〃 서랍을 열어라, 빼어라 빼닫이를 빼라
    〃 서랍을 열었다, 닫았다 빼닫이를 뺐다, 찡갰다
    〃 궤 앞닫이
    〃 자물쇠 쇠통
    〃 잠근다 장근다
    〃 잠긴다 쟁긴다
    〃 열쇠 쇳대
    〃 배개 벼게
    〃 베개를 벤다 벼개를 빈다
    〃 배갯속 비개속
    〃 베갯잇 비게호창
    〃 목침 목침
    〃 퇴침 퇴침
    〃 누비이불 누비이불
    〃 홀이불 홀이불
    〃 겹이불 접이불
    〃 솜이불 솜이불
    〃 욧잇, 욧의 홋이불
    〃 누벼야 한다 누베야 한다
    〃 폈다 피었다
    〃 요를 깔았다 요를 깔았다
    〃 이불을 개지 이불을 개지
    〃 미닫이 밀창
    〃 여닫이 문
    〃 돌쩌귀 돌쪼구
    구 분 표 준 어 방 언
    가옥 베개르 벤다 비개를 빈다
    〃 베갯속 비개속
    〃 베갯잇 비게호창
    〃 목침 목침
    〃 퇴침 퇴침
    〃 누비이불 누비이불
    〃 홀이불 홀이불
    〃 겹이불 접이불
    〃 솜이불 솜이불
    〃 욧잇, 욧의 홋이불
    〃 누벼야 한다 누베야 한다
    〃 폈다 피었다
    〃 요를 깔았다 요를 깔았다
    〃 이불을 개지 이불을 개지
    〃 미닫이 밀창
    〃 여닫이 문
    〃 돌쩌귀 돌쪼구
    〃 암쇠 암돌쪼구
    〃 숫쇠 숫돌쪼구
    〃 벽 벡짱
    〃 바람벽 벡짱
    〃 담벼락 담
    〃 굽도리 굽도리
    〃 흙손 쇠손
    〃 종이 종우
    〃 구겨지다 꼬구제진다
    〃 기와집 지와집
    〃 초가집 초가집
    〃 이엉 날개
    〃 용마름 용마람
    구 분 표 준 어 방 언
    가옥 틀다 틀다
    〃 기둥 지둥
    〃 주춧돌 주춧돌
    〃 서까래 써가래
    〃 처마 처마
    〃 추녀 춘새
    〃 낙숫물 지시랑물
    〃 고드름 고드름
    〃 울타리 울타리
    〃 담 담장
    〃 장독대 장꽝
    〃 변소 치깐
    〃 샘 샘
    〃 우물 샘
    〃 펌프가 달려있는 우물 뽐뿌샘
    〃 두래박 타리박
    〃 또아리 또가리
    〃 도랑 또랑
    〃 봇도랑 냇
    〃 개을 냇
    〃 수렁 진창
    〃 거품 버끔
    〃 수채 또랑
    〃 구멍 구녁






    구 분 표 준 어 방 언
    음식 김치 김치
    〃 깍두기 깍두기
    〃 간장 간장
    〃 간장종지 간장깍쟁이
    〃 조선간장,왜간장 간장
    〃 간장달인다 간장을 대린다
    〃 두부 뚜부
    〃 콩을 불리다 콩을 불린다
    〃 콩나물 콩노물
    〃 무친 콩나물 뭇친 콩나물
    〃 콩나물밥 콩노물밥
    〃 콩기름 콩지름
    〃 콩나물을 기른다 콩노물을 지룬다
    〃 상추 상추
    〃 오이 물외
    〃 오이지 오이김치
    〃 부추 솔
    〃 김 짐
    〃 반찬 반찬
    〃 건건이 겅개
    〃 국물 국물국
    〃 고깃국의 국물 몰국
    〃 젓갈의 젓국 몰국
    〃 김치의 국물 몰국
    〃 김칫국부터 마신다 짐칫국부터 마신다
    〃 솥 솥
    〃 가마 가매솟
    〃 조리 조리
    〃 쌀을 일었다 쌀을 일었다
    〃 주걱 주걱
    구 분 표 준 어 방 언
    음식 밥을 푼다 밥을 푼다
    〃 구둣주걱 구쓰빼라
    〃 누룽지 깐밥
    〃 눌은밥 누룬밥
    〃 승늉 승님
    〃 가루 가리
    〃 흰떡 힌떡
    〃 가래떡 대떡
    〃 백설기 힌떡
    〃 국수 국시
    〃 칼국수 칼국시
    〃 기계국수 우동
    〃 고명 조침
    〃 꾸미 조침
    〃 새알심 새왈
    〃 수제비 국시
    〃 튀밥 쌀튀기
    〃 엿기름 엿지름
    〃 식혜 식혜
    〃 감주 식혜
    〃 그릇 그륵
    〃 시루 시리
    〃 시루밑 시리밑
    〃 시루번 시릿벤이
    〃 뚜껑 뚜갱이
    〃 솥뚜껑(쇠) 솟뚜껑
    〃 장독뚜껑 장독뚜겅
    〃 항아리뚜껑 항아리뚜겅
    〃 사발뚜껑 사발뚜깨
    〃 뚝배기 툭배기
    구 분 표 준 어 방 언
    음식 바가지 쪼빡
    〃 부엌 정지
    〃 아궁이 부삭
    〃 불을 지핀다 불을 땐다
    〃 부시깽이 비땅
    〃 부삽 붓샆
    〃 숯 숟
    〃 참숯 참숯
    〃 화로 화리
    〃 화룻불 화릿불
    〃 부젓가락 불재까락
    〃 석쇠 적쇠
    〃 담뱃대 댐뱃대
    〃 담배통 대통
    〃 담배설대 대설대
    〃 성냥 성낭
    〃 부시 부수
    〃 부싯돌 부숫독
    〃 굴뚝 굴뚝
    〃 굴뚝을 쑤신다 굴뚝을 쑤신다
    〃 그을음 꺼시름
    〃 그을렸다 꺼실렸다
    〃 맵다 매웁다
    〃 배추를 절이다 배추를 간하다






    구 분 표 준 어 방 언
    농사 벼 나락
    〃 벼이착 나락모개
    〃 이삭을 팬다 이삭을 팬다
    〃 장작을 팬다 장작을 팬다
    〃 벼 열매 나락 열매
    〃 뉘 뉘
    〃 뉘를 골라낸다 뉘를 추레낸다
    〃 볍씨 씬나락
    〃 못자리 모자리
    〃 김매다 지심맨다
    〃 논을 애벌매다 논을 초북맨다
    〃 논을 두벌매다 논을 부불맨다
    〃 밭을 애벌매다 밭을 초불맨다
    〃 밭을 두벌매다 밭을 두불맨다
    〃 놉 일꾼
    〃 곁두리 술참
    〃 괭과리 꽹가리
    〃 쟁기 쟁기
    〃 보습 보싶
    〃 쇠 쇠
    〃 써래 써래
    〃 호미 호무
    〃 괭이 괭이
    〃 쇠스랑 소시랑
    〃 삽 샆
    〃 농기구 농구
    〃 볏단 나락뭇
    〃 볏가리에 나락베늘
    〃 벼훑이 홀태
    〃 그네 왜홀태
    구 분 표 준 어 방 언
    농사 회전기 양홀태
    〃 개상 개상
    〃 자리개 잘갯줄
    〃 짚 짚
    〃 새꽤기 회기
    〃 새끼 새내기
    〃 노끈 노끈
    〃 도리개 도리개
    〃 멍석 덕석
    〃 방석 잿방석
    〃 광주리 꽝저리
    〃 바구니 퉁바구니
    〃 멱둥구미 메고리
    〃 삼태기 송쿠리
    〃 절구 도구통
    〃 절구공이 동굿대
    〃 디딜방아 디딜방애
    〃 방앗공이 메
    〃 확 확
    〃 맷돌 맷독
    〃 암쇠(위) 암돗
    〃 숫쇠(아래) 숫돗
    〃 쐐기 쐭
    〃 빔 험지
    〃 겨 제
    〃 왕겨 등재
    〃 등겨 등제
    〃 보릿겨 보릿제
    〃 키 치
    〃 까불다 가불다
    구 분 표 준 어 방 언
    농사 어레미에 얼매기
    〃 보리 보리
    〃 가을 보리 보리
    〃 봄보리 보리
    〃 깜부기 깜부기
    〃 밭 밧
    〃 밭둑 밭 밭두럭
    〃 밭고랑 밭꼬랑
    〃 팥 폿
    〃 팥죽 폿죽
    〃 아퀴(벌레먹은 콩이나 팥) 가투
    〃 조 서숙
    〃 조이삭 서숙모가지
    〃 조밥 서숙밥
    〃 좁쌀 서숙쌀
    〃 차조 찰서숙
    〃 메조 모서숙
    〃 수수 쑤시
    〃 수숫잎 쒸시이파리
    〃 깨 깨
    〃 참개, 들깨 참꽤, 들꽤
    〃 참기름, 들기름 찬지름, 들지름
    〃 곡식을 사다 돈산다
    〃 곡식을 팔다 곡식을 폰다
    〃 옥수수 깡냉이
    〃 옥수수(알을 튀긴 것) 깡냉이(튀긴 것)
    〃 무우 무시
    〃 조선무우 조선무시
    〃 우무잎 무수이파리
    〃 가지말랭이 까지몰린 것
    구 분 표 준 어 방 언
    농사 장다리 무우 쫑다리 무시
    〃 시래기 실가리
    〃 쓰레기 쓰래기
    〃 채소 노무새
    〃 나물 노물
    〃 고갱이 속
    〃 파 파
    〃 파씨 팟씨
    〃 고구마 감자
    〃 고구마순 고구마줄기
    〃 감자 북감자
    〃 가지 까지


















    구 분 표 준 어 방 언
    의복 빨래 빨래
    〃 빨다 빨다
    〃 애벌 초벌
    〃 두벌 두불
    〃 빨랫방망이 빨래방마니
    〃 빨랫돌 빨랫돌
    〃 빨래터 빨래터
    〃 빨랫줄 빨래줄
    〃 다듬잇돌 다듬독
    〃 다듬이질 다듬질
    〃 다리미 대리미
    〃 인두 인두
    〃 다리다 대룬다
    〃 허리띠 허리끈
    〃 가죽 허리띠 가죽 허리끈
    〃 헝겊 허리띠 허리끈
    〃 두루마기 두루매기
    〃 염냥 주매니
    〃 한복(조끼) 주머니 개와침
    〃 양복 주머니 개와침
    〃 주머니 줌머니
    〃 고쟁이 고쟁이
    〃 잠방이 중우
    〃 두렁이 두룹치매
    〃 누더기 두대기
    〃 누덕누덕 두덕두덕
    〃 버선 보신
    〃 덧버선 덧보신
    〃 &






글번호 제 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35 가거도 팔경   관리자 2006/03/02 2274
34 홍도 33비경   관리자 2006/03/02 2450
33 홍도십경(紅島十景)   관리자 2006/03/02 3905
32 흑산도의 비경(볼거리)   관리자 2006/03/02 3186
31 지도읍의 전설   관리자 2006/03/02 7441
30 자은면의 전설   관리자 2006/03/02 2502
29 안좌면의 전설   관리자 2006/03/02 2244
28 임자면의 전설   관리자 2006/03/02 1985
27 도초면의 전설   관리자 2006/03/02 2194
26 장산면의 전설   관리자 2006/03/02 3428
25 압해면의 전설   관리자 2006/03/02 6207
24 암태면의 전설   관리자 2006/03/02 4041
23 비금면의 전설   관리자 2006/03/02 4196
22 흑산면의 전설   관리자 2006/03/02 4445
21 하의면의 전설   관리자 2006/03/02 2234
20 신안군의 연혁   관리자 2006/03/02 2904
19 신안군의 방언   관리자 2006/03/02 5501
18 팔금면의 민요   관리자 2006/03/02 2274
17 안좌면의 민요   관리자 2006/03/02 1938
16 장산면의 민요   관리자 2006/03/02 4110

page 1 2 3 4 5 6



(58753) 전남 목포시 수강로3번길 14 신안군별관 2층 / 전화 : 061) 242-8131 / 팩스 : 061) 243-8132 / sa8131@kccf.or.kr
COPYRIGHT 2006 SHINANCULTURE.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