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와 문화 > 향토사 자료

글번호 제 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5   하의면 지명지 관리자 2006/3/2 12149


    8. 하 의 면

    1) 웅곡리(熊谷里) /209
    2) 어은리(於隱里) /211
    3) 오림리(五林里) /215
    4) 대 리(大 里) /217
    5) 후광리(後廣里) /221
    6) 능산리(陵山里) /225
    7) 옥도리(玉島里) /230





















    1) 웅곡리(熊谷里)
    (1) 마을 개황

    조선 숙종 14년(AD 1688년)에 김해김씨 김동춘이 능산도에서 지금의 전광마을에 이주해오고 조선 숙종29년(AD 1703년)에 밀양박씨 박종우가 해남에서 상태서리를 거처 지금의 웅곡마을에 이주해오아 정착한것이 최초이다.
    지금의 웅곡리는 외웅곡, 내웅곡, 북포 전광, 오류동, 허박 방죽골 노두몰 구암등 9개 마을로 형성되어 있으며 마을별 거주 대표 성씨는 다음과 같다.
    마을명
    현 거주 대표 성씨
    마을명
    현 거주 대표 성씨
    외웅곡
    밀양 박씨. 해남 윤씨. 경주 최씨
    허 박

    내웅곡
    밀양 박씨. 해남 윤씨. 경주 최씨
    방죽골
    경주 이씨
    북 포
    경주 이씨. 김해 김씨. 남양 홍씨
    노두목
    김해 김씨
    전 광
    김해 김씨
    구 암
    김해 김씨
    오류동
    장책 고씨. 김해 김씨



    (2) 마을 地名
    o 거벅-바우【마을】→ 겁바우.
    o 겁-바우【거덕바우, 구암, 구암리】(마을) 뒷개 동쪽에 있는 마을. 겁바우가 있었음.
    o 겁-바우【거법바우. 구암】(바위) 겁바우 마을 앞에 있던 바위. 거북처럼 생겼음.
    o 고려-염번【염밭】고려언 맡에 있는 염반.
    o 고려-언【뚝】웅곡 동쪽에 있는 뚝. 1957년에 쌓았음.
    o 금-실【마을】→ 웅곡리.
    o 구-암【마을】→ 겁바우.
    o 구-암【바위】→ 겁바우.
    o 구암-나루【나루】구암 앞에 있는 나루.
    o 구암-리【마을】→ 겁바우.
    o 넙-바우【바위】오릿골 동쪽에 있는 넓은 바위.
    o 넙바우-산【산】넙바우가 있는 산.
    o 노월-동【마을】→ 뻘건네.
    o 당-산(堂山)【산】오릿골 서쪽에 있는 산. 당산제를 지냈음.
    o 도창-골【도창동】(마을) 웅곡 남쪽에 있는 마을. 큰 창고가 있었음.
    o 돛대-배미【논】전광 동쪽에 있는 논. 옻다처럼 곧고 기다랗게 되었음.
    o 뒷-개【북포 북포리】(마을) 뒷개 가에 있는 마을.
    o 뒷-개【북포】(개) 노듯머리 동북쪽에 있는 개. 궁곡뒤가 됨.
    o 맴생이-고랑【골】전광 동남쪽에 있는 골짜기.
    o 묏-새미【우물】오릿골 동북쪽에 있는 샘. 못 부근이 됨.
    o 미역-바우【바위】당산 서쪽에 있는 바위. 그 밑에서 미역을 땄다 함.
    o 버렁-새미【우물】전광 남쪽에 있는 샘.
    o 범등-고랑【골】→ 범딩이 고랑.
    o 범등이【골】벙등이로랑.
    o 범등이-고랑【골】→ 범딩이고랑.
    o 범딩이-고랑【범등이고랑, 범등고랑, 범등이】(골)웅곡 서북쪽에 있는 골짜기. 범이 살았다고 함.
    o 북포(北浦)【마을】→ 뒷개.
    o 북-포【개】→ 뒷개.
    o 북포-리【마을】→ 뒷개.
    o 뻘-건너【마을】→ 뻘건네.
    o 뻘-건네【뻘건너, 노월등】(마을) 웅곡 동남쪽에 있는 마을. 건너편에 뻘(갯벌)이 있음.
    o 살-잔등【등】당산에 있는 등성이. 화살 형국으로 되었음.
    o 새-새미【우물】전광 남쪽에 있던 우물. 새로팠음.
    o 섬무기-개창【논】전광 남쪽에 있는 논. “섬무기”라는 사람이 만들었다 함.
    o 소댕이【등】웅곡 동쪽에 있는 들.
    o 소두랑-섬【섬】도창골 앞에 있는 섬. 육지와 이어져 산 같은데 소두랑(솥뚜껑) 엎어 놓은 것처럼 생겼음.
    o 소-똠【논】전광 동남쪽에 있는 논. 소 형국임.
    o 송곳-배미【논】전광 서쪽에 있는 논. 송곳처럼 끝이 뾰족함.
    o 앞-너리섬【마을】→ 전광.
    o 앞-너리섬【전광도】(섬) 전광리 위쪽에 있는 작은 섬. 육지와 이어져 지금은 산처럼되었는데, 후광리의 “너리섬” 앞이 됨.
    o 앞-녀【여】구암리 앞에 있는 여.
    o 오릇-골【마을】→ 오릿골.
    o 오릇-굴【마을】→ 오릿골.
    o 오류-동(五柳洞)【마을】→ 오릿골.
    o 오리-동【마을】→ 오릿골.
    o 오릿-골【오릿굴, 오리동, 오릇골, 오릇굴, 오류동】(마을) 웅곡 서남쪽, 골짜기에 있는 마을. 물오리가 잘 앉았다고 함.
    o 오릿골-저수지【못】오릿골에 있는 못.
    o 오릿-굴【마을】→ 오릿골.
    o 웅-곡(熊谷)【마을】→ 웅곡리.
    o 장구-배미【들】쩍배미 아래쪽에 있는 논. 장구처럼 가운데가 잘록함.
    o 전광(前廣)【전광리, 전광도, 앞너리섬】(마을) 웅곡 서북쪽에 있는 마을. 앞너리섬 밑이 됨.
    o 전광-도(前廣)【마을】→ 전광.
    o 전광-도【섬】→ 앞너리섬.
    o 전광-리【마을】→ 전광.
    o 진-잔동【등】전광 서남쪽에 있는 긴 등성이.
    o 진잔등-고랑【골】진잔등 밑에 있는 골짜기.
    o 짱-배미【논】전광 서쪽에 있는 논. 갯벙이었음.
    o 쩍-배미【논】짱배미 아래에 있는 논. 갯벌이서서 쩍(굴조개)이 많았음.
    o 한새-송아리【산】오릿골 북쪽에 있는 봉우리. 한새(황새)처럼 생겼음.
    o 허박-골【허박동】(마을)도창동 동남쪽에 있는 마을. 애초 허씨와 박씨가 살았다 함.
    o 허박골-저수지【허박동저수지】(못) 허박골에 있는 못.
    o 화일이-개창【논】오릿골 앞에 있는 논. 화일이라는 사람의 것이었다 함.

    2) 어은리(於隱里)
    (1) 마을 개황

    조선 세종 31년(AD 1449년)에 전주 이씨가 염암에서 조선 성종19년(AD 1488년)에 재갈윤씨 재갈빈이 해남에서 이주해오고 조선 연산군 6년(AD 1500년)에 파평윤씨 윤종석이 해남에서 아주해와, 정착한 것이 최초이다.
    지금의 어은리는 언동, 세꾸미, 피도, 간목등 4개 마을로 협동되어 있으며 마을별 거주 대표 성씨는 다음과 같다.
    마을명
    현 거주 대표 성씨
    마을명
    현 거주 대표 성씨
    언 동
    전주 이씨. 경주 최씨
    피 도
    김해 김씨. 밀양 박씨
    세수미
    김해 김씨
    간 목
    밀양 박씨

    (2) 마을 地名
    o 가매-목【마을】→ 부항.
    o 감-목【들】→ 부항.
    o 개웅-칭이【들】→ 개창위쪽에 있는 들개가 있었음.
    o 개창【들】→ 어은 동북쪽에 있는 들개가 있었음.
    o 갱금여【여】어은 서북쪽 후미 앞에 있는 여.
    o 건는-골【골】어은 동남쪽들 건너에 있는 골짜기.
    o 꼭두말-배미【논】가매목 앞에 있는 논 맨꼭대기에 있음.
    o 넙맛-개【들】어은 동쪽에 있는 들. 옛날에는 개펄로서 은 바위가 있어 배를 매었다 함.
    o 넙-여【여】목섬 북쪽에 있는 넓은 여.
    o 어-은리【앞산】(왕산) 하의도에서 맨처음 생긴 마을 이마을, 한마을에 여러 성씨가 살고 있지만 단합하면 쇠덩어리도 삼켜 버린다는 이야기가 있다. 그러나 하의면 마을 치고 염전이 없는 마을이다.
    당-새미【우물】어은 서남쪽에 있는 우물. 부근에 당집이 있었음.
    o 당-재【고개】어은 남쪽에 있는 고개. 당집이 있었음.
    o 대-도장(大道)【마을】→ 큰도창골.
    o 대-섬【죽도】(섬) 피촌 서남쪽에 있는 섬. 대나무가 있었음.
    o 대섬-목【목】피촌에서 대섬으로 가는 길목.
    o 도창-골【마을】어은 북쪽에 있는 마을. 웅곡리의 도창골옆이 됨.
    o 도창골-새미【우물】도창골에 있는 우물.
    o 동그리-섬【바위】→ 동글섬.
    o 동글섬【동그리섬】(섬) 부항 동남쪽에 있는 섬. 육지에 이어졌는데 둥굴게 생겼음.
    o 둥글-바우【바위】큰막금 앞바다에 있는 바위. 둥그렇게 생겼음.
    o 막-금【막금이】(후미) 부항 동쪽에 있는 후미. 앞에 하태서리의 파당여가 가로 놓여 있으므로 막힌 것 같음.
    o 막금-재【고개】피촌과 막금 사이에 있는 고개.
    o 막금이【후미】→ 막금.
    o 망-끝【부리】피리 동남쪽에 있는 부리. 산 위에 올라서서 망보았었음.
    o 모래-미【후미】피리 서쪽에 있는 후미. 모래가 많음.
    o 목-녀【여】여끝여 서남쪽에 있는 여.
    o 목-섬【항도】(섬) 샛구미 서쪽에 있는 섬. 육지에 가까이 있는 데 어귀가 목처럼 생겼음.
    o 미역-바우【바위】어은 서북쪽에 있는 바위. 전에 밑에서 미역을 땃다 함.
    o 바닥-여【여】목섬 서남쪽 바닥(바다) 속에 있는 여.
    o 붕죽-밑【들】어은 저수지 밑에 있는 들.
    o 방죽밑-새미【우물】방죽밑에 있는 샘.
    o 범-바우【바위】어은 동북쪽에 있는 바위. 범이 앉아 있는 것처럼 생겼음.
    o 벙-바우【바위】→ 부엥이바위.





    o 복부래미【고개】→ 복부래밋잿.
    o 복부래밋-재【복부래미】(고개) 어은 서북쪽, 응곡리의 오릿굴로 가는 고개.
    o 부엥이-바우【벙바우】(바위) 부항 동북쪽에 있는 큰 바위.
    o 부항【부항동, 감목, 가매목】(마을) 피리 서남쪽에 있는 마을. 소금을 구운 가마가 있었음.
    o 부항-동(浮項)【마을】→ 부항.
    o 북산(北山)【산】어은 북쪽에 있는 산.
    o 불-등【불】어은 서쪽에 있는 불.
    o 붕알-바우【바위】어은 동쪽에 있는 바위. 둥그렇게 생겼음.
    o 빠듯랑-골【유목동】(골) 피섬 서북쪽에 있는 골짜기.
    o 삿갓-바우【바위】동그섬 동쪽에 있는 바위. 삿갓을 엎어 놓은 것처럼 생겼음.
    o 새-구미【마을】→ 샛구미.
    o 새-새미【우물】어은 앞에 있는 샘. 새로 팠음.
    o 새-피섬【섬】피리 남쪽 어귀에 있는 섬 육지와 이어졌는데 상태동의 피섬 서쪽 어위가 됨.
    o 샛-구미【새구미, 샛기미】(마을) 피리 서북쪽 후미에 있는 마을.
    o 샛-기미【마을】→ 샛구미.
    o 숯-골【탄동】(골) 적골 아래에 있는 골짜기. 숯을 구궜음.
    o 쌍-등【들】어은 동쪽에 있는 들. 나랑히 있는 두 등성이 밑이 됨.
    o 안-골【골】어은 동남쪽에 있느 골짜기.
    o 애개미-새미【우물】중새미 위쪽에 있는 샘. 산모가 아이 귀저귀 따위를 빨았다 함.
    o 어리-재【고개】어은동에 있는 고개.
    o 어은(於隱)【마을】→ 어은리.
    o 어은-동【마을】→ 어은리.
    o 어은-잔등【등】→ 오림잇잔등.
    o 어음-리【마을】→ 어은리.
    o 언-굴【마을】어은리.
    o 언-동【마을】→ 어은리.
    o 언-골【골】뻐드랑골 위쪽에 있는 깊은 골짜기.
    o 여-끝【부리】어은 서남쪽 끝에 있는 부리. 앞에 여가 나옴.
    o 여끝-여【여】여끝 앞에 있는 여.
    o 오림잇-잔등【어은잔등】(등) 어은 동남쪽에 있는 긴 등성이. 너머에 오림리가 있음.
    o 유목-동【골】→ 뻐드랑골.
    o 작은-대섬목【목】대섬목의 작은 길목.
    o 작은-도창굴【마을】동창골의 작은 마을.
    o 작은-막금【후미】막금의 작은 후미.
    o 작은-모래미【후미】모래미의 작은 후미.
    o 작은-목섬【소항도】(섬) 어은 서쪽에 있는 섬. 위쪽의 대목섬보다 작음.
    o 작은-샙구미【후미】어은 서남쪽에 있는 후미. 샛구미보다 작음.
    o 작은-장불【불】장불의 작은 불.
    o 장구-배미【논】피섬 앞에 있는 논. 장구처럼 가운데가 잘록함.
    o 장-불【불】어은 서쪽에 있는 긴 불.
    o 재-기미【후미】큰산밑 남쪽에 있는 후미. 고개 밑이 됨.
    o 적-굴【골】피섬 동북쪽에 있는 골짜기. 절이 있었음.
    o 죽-도(竹)【섬】→ 대섬.
    o 중산-골【골】어은 동쪽에 있는 골짜기. 중이 죽으면 이곳에서 화장하였다고함.
    o 중-새미【우물】어은 서북쪽에 있는 샘. 주로 절에서 많이 이용했음.
    o 진-똥【논】가매목 앞에 있는 긴 논.
    o 쩍-굴【골】→ 적골.
    o 큰-대섬목【목】대섬목의 큰 목.
    o 큰-도창골【대도장】(마을) 도창골의 큰 마을.
    o 큰-막금【후미】막금의 큰 후미.
    o 큰-모래미【후미】모래미의 큰 후미.
    o 큰산-밑【골】어은 서남쪽, 큰 산 밑에 있는 골짜기.
    o 큰-장불【불】장불의 큰 불.
    o 큰-재【고개】어은 서북쪽에서 웅곡리 오릿구로 가는 고개.
    o 통-새미【우물】어은 복판에 있던 우물. 돌로 안쪽을 원통골로 짰음.
    o 팽-바우【바위】큰산밑 서남쪽에 있는 바위. 위가 평평하게 생겼음.
    o 피-리(皮里)【피섬, 피촌, 피은리】(마을) 어은 서남쪽.
    o 피섬【마을】→ 피리.
    o 피은-리【마을】→ 피리.
    o 피-촌【마을】→ 피리.
    o 한수-봉【산】어리제 동쪽에 있는 산. 높이 100m.
    o 한절-새미【우물】어은 남쪽 한길 가에 있는 우물.
    o 항-도【섬】→ 목섬.

    (3) 文化財
    o 패총(貝塚)
    소재지
    명 칭
    기 수
    연 대
    위 치
    어은리
    어은리 패총
    1기
    철기시대
    어은리 해변 300m 지점
    3) 오림리(五林里)
    (1) 마을 개황

    조선 인조15년(AD 1637년)에 김해 김씨 김세필이 영암에서 지금의 서편마을에 조선숙종 26년(AD 1700년)에 김해 김씨 김행석이 강진에서 지금의 동편마을에 이주해와 정착한것이 최초이다.
    마을명
    현 거주 대표 성씨
    마을명
    현 거주 대표 성씨
    동 편
    김해 김씨. 전주 강씨. 파평 윤씨
    서 편
    김해 김씨
    벗 원
    김해 김씨
    신 촌
    진주 강씨
    유 호
    김해 김씨. 밀양 박씨
    마구지
    김해 김씨
    소유호
    밀양 박씨
    세꾸미
    김해 김씨
    봉 도
    김해 김씨. 밀양 박씨. 해남 윤씨


    지금의 오림리는 동편 벗원, 유호, 소유호 봉도 서편 신촌 마구리. 세꾸미 등 9개 마을동편로 형성되어 있으며 마을별 거주 대표 성씨는 다음과 같다.

    (2) 마을 地名
    o 가은 -밭【들】→ 가는벌.
    o 가는-벌【가는밭, 가는벗】(들) 소유호 남쪽에 있는 들. 벗(염밭)이 있었음.
    o 가는-벗【들】→ 가는벌.
    o 가학-도(可鶴)【섬】→ 가학섬.
    o 가학-섬【가학도, 개학섬】(섬) 멀구지 동쪽에 있는 섬. 서있는 학머리 처럼 높이 솟았음.
    o 강남-언【뚝】→ 강남원.
    o 강남-염전【염밭】강남원 밑에 있는 염밭.
    o 강남-원【강남언】(뚝) 오림 동남쪽에 있는 뚝.
    o 개골-바우【바위】망메산에 있는 바위.
    o 개골바우-빝【들】개골바우 밑에 있는 들.
    o 개학-섬【섬】가학섬.
    o 국사-당(菊祠)【염밭】→ 국시당.
    o 국시-당【국시당】(염밭) 노도리 북쪽에 있는 염밭. 서낭당이 있었음.
    o 노-도(路道)【마을】→ 봉도리.
    o 노-도【섬】→ 뻘섬.
    o 뇌도-리【마을】→ 봉도리.
    o 당-새미【우물】유호 서쪽에 있는 샘. 당산제를 지낼때 이 물을 길어다 썻음.
    o 동-그테【마을】오림의 동편쪽에 있는 마을.
    o 들겅-머리【산】소유호 서남쪽. 어귀에 있는 산.
    o 마-구지(馬口地)【마을】→ 멀구지.
    o 마장-구지【곶】마장동 북쪽에 있는 곶.
    o 마장-동(馬場)【마을】→ 수문동.
    o 막금-들【들】막금재 밑에 있는 들.
    o 막금-재【고개】→ 어은리의 고개.
    o 말-구지【마을】멀구지.
    o 망-메【산】망메산.
    o 망메-산【망메, 망재봉아리】(산) 유호 동쪽에 있는 산. 높이 160여m. 망보는곳이
    있었다 함.
    o 망재-봉아리【산】→ 망메산.
    o 멀-구지【말구지, 마구지】(마을) 오림 동북쪽에 있는 마을.
    o 버드낭-골【마을】→ 유호.
    o 벗-앞【들】소유호 남쪽에 있는 들. 앞에 벗(염밭)이 있음. 마당구지 밑이 됨.
    o 벗-원【마을】신촌 동쪽에 있는 마을. 벗(염밭)과 언(뚝)이 있음.
    o 봉-도(蓬)【섬】→ 뻘섬.
    o 봉도-리【뇌도리, 노도】(마을) 소유호 동남쪽 갯가에 있는 마을. 봉도(노도)가 있음. o 새-몰【신촌】(마을) 오림 동쪽에 있는 마을. 새로 되었음.
    o 새-벗【염밭】마구지 아래쪽에 있는 염밭. 새로 되었음.
    o 소-유호(小有戶)【소유호리】(마을) 유호 동남쪽에 있는 작은 마을.
    o 소유호-리【마을】→ 소유호.
    o 쇠똥-바우【바위】오림 서쪽에 있는 바위. 쇠똥을 쌓아 놓은 모양으로 되어있음.
    o 수문-통【마장동】(마을) 벗원 동쪽에 있는 마을.
    1. 부근에 마장이 있었음.
    2. 아파에 수문이 있었음.
    o 수푸지-끝【부리】봉도리 서쪽에 있는 부리.
    o 신-촌(新村)【마을】→ 새몰.
    o 아랫-벗【염밭】봉도리 동쪽 아래에 있은 벗.
    o 안-고랑【들】→ 안골.
    o 안-골【안고랑】(들) 유호 북쪽안에 있는 들.
    o 어은-잔등【등】→ 어은리의 오림잇잔등.
    o 엉-끝【부리】소유호 서쪽에 있는 부리. 엉(낭떠러지) 밑이 됨.
    o 오름【마을】→ 오림리.
    o 오림(五林)【마을】→ 오림리.
    o 오림-저수지【못】오림 서남쪽에 있는 못.
    o 오음(五音)【마을】→ 오림리.
    o 용두리-바우【용두암】(바위) 유호 남쪽에 있는 바위. 용머리 처럼 생겼음.
    o 용두-암【바위】→ 용두리바우.
    o 웃-벗【염밭】아랫볏 위쪽에 있는 염밭.
    o 유골-테【마을】유호의 서쪽 마을.
    o 유눅-골【들】→ 유닉골.
    o 유닉-골【유눅골】(들) 오림 동북쪽에 있는 들.
    o 유호【유호리, 버드낭골】(마을) 오리 서남쪽에 있는 마을. 개와 벗(염밭)이 있었음. 유골테 옆이 됨.
    o 유호-리(有戶)【마을】→ 유호.
    o 작은-뻘섬【섬】뻘섬의 작은 섬.
    o 진-장등【등】유호 서쪽에 있는 긴 등성이.
    o 질매-재【산】마장동 남쪽에 있는 산. 질매(길마) 형국임.
    o 큰-골【골】큰재에 있는 골짜기.
    o 큰-벗【염밭】아랫벗과 웃벗 사이에 있는 큰 염밭.
    o 큰-재【산】유호 북쪽에 있는 큰 산.
    o 큰-뻘섬【섬】뻘섬의 큰 섬.
    o 헌테-진등【등】새몰 북쪽에 있는 등성이. 전에 마을이 있었음.

    4) 대리(大里)
    (1) 마을 개황

    조선 중종3년(AD 1508년)에 남양제갈씨. 제갈만익이 하의 언동에서 지남의 동서편 마을에 이주해와 정착한 것이 최초이다.
    마을명
    현 거주 대표 성씨
    마을명
    현 거두 대표 성씨
    동 편
    김해 김씨. 경주 최씨
    벼 락
    김해 김씨
    서 편
    인동 장씨. 김해 김씨. 경주 정씨
    당 두
    김해 김씨
    부락동
    진주 강씨. 제주 고씨
    남구리

    지금의 대리는 동편, 서편, 부락동, 벼락, 당두, 남구리 등 6개 마을로 형성되어 있으며 마을별 거주대표 성씨는 다음과 같다.
    (2) 마을 地名
    o 가멧-들【들】가멧재 밑에 있는 들.
    o 가멧-재【고개】대리에서 후광리로 가는 고개.
    o 고상-골【골】적골 남쪽에 있는 골짜기.
    o 공독-바우【바위】대리 서쪽에 있는 바위. 공기돌 처럼 동굴동글하게 생겼음.
    o 구시나뭇-거리【들】당머리위에 있는 들. 구시(귀신) 나무가 있었음.
    o 김동지-묘(金同只)【묘】불무산에 있는, 동지(同只) 벼슬을 지낸 김씨의 증조의 묘.
    o 낭-구지(朗口地)【마을】→ 낭구지.
    o 남살-메【산】대리 남쪽에 있는 산.
    o 낭-구지【남구지】(마을) 부낙리 남쪽, 곶 밑에 있는 마을.
    o 논-샘【우물】살기미 북쪽 논에 있는 샘.
    o 논샘-거리【들】논샘 근처에 있는 들.
    o 당-머리【땅머리, 당두】(마을) 대리 서쪽에 있는 마을.
    o 당머릿-개【땅머릿개】(개) 당머리 앞에 있는 개.
    o 당머리-선창【나루】당머리 북쪽에서 능산도로 가는 나루.
    o 동굴-도(洞屈)【섬】→ 동굴섬.
    o 돌골-섬【동골도】(섬) 낭구지 서남쪽에 있는 섬. 동그랗게 생겼는데 현재 육지와 이어졌음.
    o 동짝【마을】대리의 동짝(쪽)에 있는 마을.
    o 돛대-배미【논】둠벙배미 아래쪽에 있는 논. 곧고 기다랗게 생겼음.
    o 둠벙-배미【논】진배미 아래쪽에 있는 논. 둥벙이 있었음.
    o 땅-골【골】대리 동쪽에 있는 골짜기. 불당이 있었다함.
    o 땅골-개【들】땅골 밑에 있는 들. 개가 있었음.
    o 땅골-잔등【등】땅골 위에 있는 긴 등성이.
    o 땅-머리【마을】→ 당머리.
    o 땅머릿-개【개】→ 당머릿개.
    o 망-매【망멧산】(산) 부내기 서북쪽에 있는 산. 높이 64m. 높이 솟아 있어서 망보기가 좋음.
    o 망멧-밑【들】망메 밑에 있는 들.
    o 망멧-산【산】→ 망메.
    o 믁-항도【섬】낭구지 앞에 있는 섬.
    o 물-목【들】대리 동북쪽에 있는 들. 물목이 됨.
    o 바닥-구지【해구지】(곶) 대리 남쪽에 있는 곶. 밑까지 바닥(바다)물이 들어왔았음.
    o 밭-당골【골】당공의 바깥쪽 골짜기.
    o 부낙-동【마을】→ 부내기.
    o 부낙-리【마을】→ 부내기.
    o 부내기【부낙리, 부낙동】(마을) 대리 남쪽에 있는 마을. 너머에 갯벌이 있었음.
    o 부내깃-잔등【등】대리와 부내기 사이에 있는 등성이.
    o 불목-벗【염밭】불무섬 밑에 있는 염밭.
    o 불무-섬【야도】(섬) 대리 동남쪽에 있는 섬. 육지와 이어졌음.
    o 불뭇등-새미【우물】대리 동쪽에 있는 우물. 불무섬 위쪽 등성이가 있음.
    o 시동【골】→ 적골.
    o 살-기미【후미】욋기미 남쪽에 있는 후미. 어살을 치고 물등성이가 됨.
    o 샛-불무섬【섬】대리와 불무섬 사이에 있는 섬. 육지와 이어졌음.
    o 생앳집-건네【들】바닥구지 서쪽에 있는 들. 건너편에 생앳집(상여집)이 있었음.
    o 서짝【마을】대리 서짝(쪽)에 있는 마을.
    o 선창-들【들】선창몰 앞에 있는 들.
    o 선창-몰(船倉)【마을】서짝 서쪽에 있는 마을. 선창이 있었음.
    o 선창-새미【우물】선창들이 있는 우물.
    o 송장-바우【바위】선창들에 있는 바위. 관처럼 생겼음.
    o 신-촌(新村)【마을】오거리 북쪽에 있는 새로 된 마을.
    o 아릿-선창【들】선창들 아래족에 있는 들.
    o 안-골【골】대리 서남쪽 안에 있는 골짜기.
    o 안-당골【골】당골의 안쪽 골짜기.
    o 야-도(冶)【섬】→ 불무섬.
    o 외앗-구미【후미】→ 욋기미.
    o 욋-기미【외앗구미】(후미) 고상골 서쪽에 있는 후미. 기와를 구웠다 함.
    o 욋기미-잔등【등】욋기미 북쪽에 있는 긴 등성이.
    o 웃-선창【들】선창들 위쪽에 있는 들.
    o 작은-당머리【개】당머리 북쪽에 있는 개. 당머리개보다 작으며 전에 나루였는데 당머리 선창으로 옮겼음.
    o 작은-부내기【마을】부내기의 작은 마을.
    o 작은-안골【골】안공의 작은 골짜기.
    o 작은-욋기미【후미】욋기미의 작은 후미.
    o 적-골【사동】(골) 대리 서북쪽데 있는 골짜기. 절이 있었음.
    o 정택이논-골【골】낭구지 남쪽에 있는 골짜기. 정택이의 논이 있었음.
    o 종남깨-잔둥【등】대리와 후광리의 종남깨 사이에 있는 작은 등성이.
    o 중-메【산】→ 중멧산.
    o 중멧-산【중메】(산) 대리와 불무섬 중간에 있는 산.
    o 쥐-섬【섬】불무섬 서쪽에 있는 작은 섬. 옛날에는 육지와 이어진 바위 섬으로서
    쥐처럼 생겼음. 마을에서 바로 보이기 때문에 해롭다 하여 흙으로 그 위를 덮어 지금은 인공으로 만든 산처럼 보임.
    o 집앞-벗【염밭】대리 앞에 있는 염밭.
    o 초암서재-터(草菴)【터】대리뒤, 덕봉산 (군선천)밑에 있는 초암 서재의 터. 근세의 선비 초암 김공빈선생(金恭彬)이 여기서 후진을 가르쳤음.
    o 초암선생-비(草菴先生)【비】대리 동쪽 어귀 길가에 서있는. 초암 김공빈(金恭彬)의 비.
    o 칼-산【산】망메 남쪽에 있는 산. 긴칼을 세워 놓은 듯함.
    o 큰-동네【마을】→ 대리.
    o 큰-몰【마을】→ 대리.
    o 큰-부내기【마을】부내기의 큰 마을.
    o 큰-안골【골】안골의 큰 골짜기.
    o 큰-욋기미【후미】욋기미의 큰 후미.
    o 토지분쟁-항쟁비【비】대리에 있는 비.
    o 항-도(項島)【섬】→ 목섬.
    o 해-구지(海口)【곶】→ 바닥구지.

    (3) 文化財
    소재지
    명 칭
    기 수
    위 치
    하의면 대리
    1구
    대리 1구지석묘




    돌개목지석묘
    4기



    1기
    o 대리 225번지 김랑곤댁집 마당 1기
    o 대리 225번지 김심배댁집 뒷밭 1기
    o 대리 229번지 윤양심댁집 뒷밭 1기
    o 대리 119번지 정화수댁집 마당 1기

    o 대리에서 후광기로 넘어가는 낮은
    고개 우측
    1. 지석묘(支石墓)

    2. 고분(古墳)
    소재지
    명 칭
    기수
    위 치
    규 격
    대 리
    대리고분
    1
    金海金氏 先山에 位置
    길이: 15m
    폭 : 10m
    대 리
    蛇頭古墳
    1
    一湜저수지 바로 北쪽 蛇頭에 位置
    길이: 8.2m
    폭 : 3.6m
    높이: 1.4m
    대 리
    칼산고분
    1
    一 湜저수지 西쪽 칼산에 位置
    길이: 3.5m
    높이: 1m

    3. 전통가옥
    소재지
    가 옥 명
    연 대
    전 통 가 옥
    대리 261
    제갈남출가옥
    순조 23년 (1823)
    안채의 坐向은 亥坐己向이며 안태 前面左側으로 사랑채와 측간채가 設置되어 있다.
    대리 258
    정성철가옥
    헌종 3년 (1837)
    안채와 행랑채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리 189
    김성배가옥
    순조 31년 (1831)
    안채와 사랑채, 부속사로 되어 있음.
    대리
    박향심가옥
    정조 21년 (1797)
    안채와 사랑채, 측간채로 되어 있다.

    5) 후광리(後廣里)
    (1) 마을 개황

    조선 숙종 26년(AD 1700년)에 전주 이씨 이세광이 전북고창에서 지금의 장병도에 이주해오고 조선 숙종 28년(AD 1702년)에 단양우씨 우명태가 영암에서 지금의 소포에 조선 영조24년(AD 1748년)에 경주최씨 최치명이 영맘에서 지금의 운산에 조선 현종 4년 (AD 1838년)에는 달성서씨 서달수가 원후광에 이주해와 정착한것이 최초이다.
    지금의 후광리는 종남, 전월, 운산, 소포, 개도, 역구, 장병 문병, 오장, 원후광등 10개마을로 형성되어 있으며 마을별 거주 대표 성씨는 다음과 같다.
    마을명
    현 거주 대표 성씨
    마을명
    현 거주 대표 성씨
    종 남
    김해 김씨. 전주 이씨. 인동 장씨
    역 구
    경주 최씨
    전 월
    경주 정씨. 제주 양씨. 영양 천씨
    장 병
    전주 이씨
    운 산
    경주 최씨. 김해 김씨
    문 병
    경주 정씨. 전주 이씨
    소 포
    단양 우씨. 김해 임씨
    오 장
    진주 강씨
    개 도
    창영 조씨
    원후광
    달성서씨. 단양 우씨

    (2) 마을 地名
    o 가감-목【목】종남 동쪽에서 갯벌로 가는 길목.
    o 가맷-등【등】종남 서쪽에 있는 등성이. 미티에 소금 만드는 가마(염부)가 있었음.
    o 가새-섬【섬】가섬 서남쪽에 있는 작은섬. 가새(가위) 형국임.
    o 가섬【개도】(마을) 가섬에 있는 마을.
    o 가-섬【개도】(섬) 소포리 서북쪽에 있는 섬. 하의도(군산천)보다 작음.
    o 간암-도【섬】→ 새미섬.
    o 갈-오지【곶】돈을 북쪽에 있는 곶.
    o 개-도【마을】→ 가섬.
    o 개-도【섬】→ 가섬.
    o 거메-섬【흑도】(섬) 떼기섬 서북쪽에 있는 섬. 빛이 거무스름 함.
    o 건넷-산【산】장병 남쪽, 갯벌 건너에 있는 산.
    o 광-도【섬】→ 너리섬.
    o 구정-개【개】터진개 위쪽에 있는 개.
    o 깐치-섬【작도】(섬) 문병도 서쪽에 있는 작은 섬.
    o 나-드리【개】방죽골 서북쪽에 있는 개. 나룻배를 대었음.
    o 나릿-구지【곶】가섬 남쪽에 있는 곶. 밑에 나루터가 있음.
    o 납대기【압도】(섬) 기메섬 북동쪽에 있는 납작한 섬.
    o 납대기-여【여】납대기 남쪽에 있는 여.

    o 내-갈오지【곶】→ 안갈오지.
    o 내-황도(內黃)【섬】→ 노랑섬.
    o 너리-섬【광도, 황도】(섬) 종남 북쪽에 있는 섬으로 육지와 이어졌음.
    o 너리섬-개【개】너리섬 앞에 있는 여.
    o 노랑-섬【안노랑섬, 내황도, 황도】(섬) 너리섬 동북쪽에 있는 섬.
    o 노랑섬-여【여】노랑섬 앞에 있는 여.
    o 다랭이【산】진잔등 북쪽에 있는 산.
    o 다물넷-재【산】진절 북쪽에 있는 산. 높이 65m. 당집이 있었음.
    o 대-송도(大松島)【섬】→ 큰소리섬.
    o 대-죽도【섬】→ 큰대섬.
    o 대-편도(大片)【섬】→ 큰떼기섬.
    o 대흥-염전(大興)【염밭】돈을 남쪽에 있는 염밭.
    o 도장-구미【후미】엿기미 북쪽 우묵한 후미.
    o 독-새미【우물】독샘골에 있는 샘. 돌틈에서 물이 새어나옴.
    o 독샘-골【골】엿기미 동쪽에 있는 골짜기. 독새미가 있음.
    o 돈을【돈월, 전월, 전월리】(마을) 동남 동남쪽에 있는 마을, 동그렇게 생긴 섬 밑이 됨.
    o 동긋-새【후메】기섬 남쪽에 있는 후미.
    o 뒷-너리섬【마을】→ 후광리.
    o 딴-돈을【딴돈월】(섬) 돈을 동쪽에 있는 외딴 섬. 육지와 이어졌음.
    o 딴돈을-벗【염밭】딴돈을 밑에 있는 염밭.
    o 딴-돈을【섬】→ 딴돈을.
    o 땅-머리【산】→ 땅멀.
    o 땅-멀【땅머리】(산) 장병 동쪽에 있는 산. 당집이 있었음.
    o 떨국-잔등【등】도장동에서 대리로 가는 긴 등성이.
    o 떼기-섬【편도】(섬) 가섬 북쪽에 있는 골짜기. 여러뗴기(뙈기,잘가리땅)로되어있음.
    o 떼밭-고랑【골】돈을 동쪽에 있는 골짜기. 떼(띠)가 많았음.
    o 뛰밭-끝【부리】작은 개 동북쪽에 있는 부리. 뛰(띠)가 많았음.
    o 막-개【개】진절 서쪽에 있는 개.
    o 모시-섬【저도】(섬) 납대기 북쪽에 있는 섬.
    o 모자르-미【들】가섬의 북쪽에 있는 골짜기. 못자리를 했음.
    o 못밧-끝【부리】가섬 동쪽에 있은 부리.
    o 문병-도(門柄)【섬】→ 문절.
    o 문절【문병도, 문자루】(섬) 진절 서북쪽에 있는 섬.
    o 물목-벗【염밭】종남개 동남쪽에 있는 염밭. 물목이 있었음.
    o 물뿌리-섬【수근도】(섬) 가섬 옆에 있는 작은 섬.
    o 방죽-골【들】진절 북쪽 골짜기에 있는 들. 방죽이 있었음.
    o 방죽-기미【후미】불안 서북쪽에 있는 후미. 방죽이 있음.
    o 밭-갈오지【외갈오지】(곶) 갈오지 바깥쪽의 곶.
    o 뱃머리-벗【염밭】종남 북쪽에 있는 염밭. 배를 댔음.
    o 버렁-골【골】엿끼미 서쪽에 있는 골짜기. 벌어진 형극임.
    o 불-안【골】가섬 서북쪽에 있는 골짜기. 불(모래톱)이 있음.
    o 사머릿-갯【개】종남 북쪽에 있는 개. 산 머리쪽이 됨.
    o 상루-바우【바위】진절 북쪽에 있는 바위. 상투처럼 생겼음.
    o 새미-섬【간암도】(섬) 진절 서남쪽에 있는 섬.
    o 새-벗【염밭】종남 북쪽에 있는 염밭. 새로 되었음.
    o 소리-섬【송도】(섬) 종남 동남쪽에 있는 섬.
    o 소-송도(小松)【섬】→ 작은 소리섬.
    o 소-장도(少長)【섬】→ 장긍 장가리섬.
    o 소-장병도(小長柄)【섬】→ 작은 진절.
    o 소-편도(小片)【섬】→ 작은떼기섬.
    o 소포(小浦)【마을】→ 작은개.
    o 소포-리【마을】→ 작은개.
    o 송-도(松島)【섬】→ 소리섬.
    o 수근-도(水群)【섬】→ 물뿌리섬.
    o 아릿-벗【염밭】큰봇 아래쪽에 있는 염밭.
    o 안-갈올지【내갈오지】(곶) 갈오지에 있는 안쪽 곶.
    o 안-노랑섬【섬】→ 노랑섬.
    o 안-도(顔島)【섬】→ 납대기.
    o 얽은-바우【바위】가섬 동북쪽에 있는 바위. 울퉁불퉁하여 얽은 것처럼 생겼음.
    o 여-구미【마을】→ 엿기미.
    o 엿-기미【엇구미, 여구미】(마을) 작은 개 서남쪽에 있는 마을. 여가 있음.
    o 엿기미-여【여】엿기미 앞에 있는 여.
    o 오장-골【오장동】(마을) 운산 동남쪽에 있는 마을.
    o 오장-동【마을】→ 오장골.
    o 옴목-섬【원도】(섬) 가섬 동쪽에 있는 동그랗게 생긴 섬.
    o 왕-재【산】진절 북쪽에 있는 산.
    o 외-갈오지【곶】→ 발갈오지.
    o 외-배미【골】가섬 서쪽에 있는 골짜기. 외딴 논이 있음.
    o 운산(雲)【운산리】(마을) 원후광 서남쪽 산 미티에 있는 마을. 움푹함.
    o 운산-리【마을】→ 운산.
    o 원-도(元)【섬】→ 움목섬.
    o 원안-벗【염밭】종남 북쪽에 있는 염밭. 원(뚝)이 있음.
    o 원-후광【마을】우광리으이 원 마을.
    o 이층-바우【바위】진절 서북쪽에 있는 바위. 2층으로 되었음.
    o 작-도(作)【섬】→ 장가리 섬.
    o 작은-개【소포, 소포리】(마을) 원후광 동쪽에 있는 마을. 앞에 작은 개가 있었음.
    o 작은갯-잔등【등】작은 개와 종남 사이에 있는 등성이.
    o 작은-대섬【소죽도】(섬) 대섬의 작은 섬.
    o 작은-떼기서 소편도【섬】-떼기의섬의 작은 섬.
    o 작은-막개【개】막개의 작은 개.
    o 작은-물뿌리【섬】물뿌리섬 서남쪽에 있는 작은 섬.
    o 작은-방죽골【들】방죽골의 작은 들.
    o 작은-장가리【섬】장가리의 서쪽에 있는 작은 섬.
    o 장가리【작도, 장가리도, 장가리섬】(섬) 문절 서쪽에 있는 섬.
    o 장가리-도【섬】(섬)→ 장가리.
    o 장가리-섬【섬】→ 장가리.
    o 장병도【마을】→ 진절.
    o 장병-도(長柄)【진절, 지잘】(섬) 후광 동북쪽에 있는 섬.
    o 저-도(苧島)【섬】→ 모시섬.
    o 적-골【골】운산 서쪽에 있는 골짜기. 절이 있었음.
    o 전월-리(錢月)【마을】-돈을.
    o 조팍-골【골】운산 저쪽에 있는 골짜기.
    o 종남(宗南)【종남리, 종남개, 종남포, 쪽난개】(마을) 오장골 서남쪽에 있는 마을. 앞에 쪽이난 갯벌이 있었음.
    o 종남-개【마을】→ 종남.
    o 종남-리【마을】→ 종남.
    o 종남-포【마을】→ 종남.
    o 진-장등【등】진절 북쪽에 있는 긴 등성이.
    o 진-잘【마을】→ 진절.
    o 진-잘【섬】→ 장병도.
    o 진-절【섬】→ (진잘, 장병도) (마을) 장병도에 있는 마을.
    o 진-절【섬】→ 장병도.
    o 쪽난-개【마을】→ 종남.
    o 큰-기미【후미】가섬 서쪽에 있는 큰 후미.
    o 큰-대섬(대죽도)【섬】대섬의 큰 섬.
    o 큰-떼기섬【대편도】(섬)떼기섬의 큰 섬.
    o 큰-방죽골【골】방죽골의 큰 들.
    o 큰-벗【염밭】새벗위쪽에 있는 염밭.
    o 큰-뻘【개】하의도와 진절 사이에 있는 큰 갯벌.
    o 큰-소리섬【대송도】(섬) 소리섬의 동남쪽에 있는 큰 섬.
    o 큰-장가리【섬】장가리 동쪽에 있는 큰 섬.
    o 처진-개【개】사머릿개 위쪽에 있는 개. 뚝이 터진 일이 있었음.
    o 토막-끝【부리】소포 북쪽에 있는 부리. 끝이 벼랑으로 되어 있어 토막나게 끊은 것 같음.
    o 편-도【섬】→ 때기섬.
    o 한산-골【골】못밧끝 남쪽에 있는 골짜기.
    o 흥-머리【등】돈을 남쪽에 있는 등성이.
    o 황개멧-밑【골】외배미 서쪽에 있는 골짜기. 황씨 가문의 뫼 밑이 됨.
    o 황-도【섬】→ 노랑섬.
    o 흑-도【섬】→ 거메섬.
    o 후광【마을】→ 후광리.
    o 후광-도【마을】후광리.

    6) 능산리(陵山里)
    (1) 마을 개황

    조선 선조 1년(AD 1568년)에 경주 정씨 정태삼이 하의도에서 지금의 대야에 이주해오고 조선 순조 8년 (AD 1808년)에 김해김씨 김봉민이 원능산을 경유 지금의 장재도에 이주해와 정착한 것이 최초이다.
    마을명
    현 거주 대표 성씨
    마을명
    현 거주 대표 성씨
    원능산
    전주 이씨. 김해 김씨
    통구미
    경주 이씨
    대 야
    경주 정씨
    북구미
    경주 이씨
    큰모실
    경주 이씨
    장제도
    김해 김씨
    안테골
    경주 이씨


    지금의 능산리는 원능산, 대야, 큰모실, 안태골, 통구미, 북구미, 장제도등 7개 마을로 형성되어 있으며 마을별 거주 대표 성씨는 다음과 같다.

    (2) 마을 地名
    o 기-데미【후미】능산 서남쪽 가에 있는 후미.
    o 가마구-섬【섬】용난끝 북쪽에 있는섬. 까마귀가 많았다 함.
    o 갓-바우【바위】지문그미 서쪽에 있는 바위. 갓처럼 생겼음.
    o 개-목【목】섶섬 서쪽 갯가에 있는 잘룩한 길목.
    o 개목-잔등【등】개목 위쪽에 있는 긴 등성이.
    o 기-도(箕島)【섬】→ 더리섬.
    o 고래-서리【고래실】(들) 끝끼미 서쪽에 있는 들. 바닥이 깊숙하여 마을이 있었음.
    o 고래-실【들】→ 고래서리.
    o 꼴-끄미【꼴끼미】(들) 만두꾸미 남쪽에 있는 들. 후미 옆 골짜기가 됨.
    o 꼴-끼미【들】→ 꼴끄미.
    o 납닥-섬【섬】→ 납대기.
    o 납대기【납닥섬, 납도】(섬) 통기미 남쪽에 있는 섬. 납작하게 생겼음.
    o 납-도【섬】→ 납대기.
    o 낭-끝【부리】선도 동북쪽에 있는 부리. 낭떠러지 밑이 됨.
    o 낭끝-코뺑이【등】산의거리 북쪽끝에 있는 등성이. 콧등처럼 생겼음.
    o 노랑-바우【바위】통기미 서북쪽에 있는 바위. 빛깔이 노르스름 함.
    o 논-골【들】풍년골 남쪽 골짜기에 있는 들.
    o 뉘-머리【등】개목 서쪽에 있는 등성이. 누에머리 형국임.
    o 늘메【마을】→ 능산리.
    o 늘메-섬【마을】→ 능산리.
    o 능메【마을】→ 능산리.
    o 능산(陵山)【마을】→ 능산리.
    o 당-끝【부리】능산 남쪽에 있는 부리. 당집이 있었음.
    o 당-새미【우물】활목에 있는 샘. 당산제를 지낼때 이물을 길어다 썼음.
    o 당-새미【우물】대야리에 있는 샘. 곁에서 당산제를 지냈음.
    o 당-새미【우물】농산에 있는 샘. 당산제를 지낼때 이물을 씀.
    o 대구-서(大口)【여】→ 장군여.
    o 대굿-여【여】→ 장군여.
    o 대야(大也)【대야리】(마을) 대야도에 있는 마을.
    o 대야도(大也)【대야리】(섬) 능산도 서북쪽에 있는 섬.
    o 대야-리【마을】→ 대야.
    o 대야-섬【섬】→ 대야도.
    o 더리-섬【덕도, 기도】(섬) 용섬 서쪽에 있는 작은섬. 둥글게 생겼음.
    o 덕-도(德島)【섬】→ 더리섬.
    o 독-배기【산】대메 남쪽 끝에 있는 산. 큰바위가 박혀 있음.
    o 독배기-끝【부리】독배기 남쪽에 있는 부리.
    o 동-메【산】대야 동쪽에 있는 동산.
    o 등-메【산】신도 북쪽에 있는 작은 산. 동그랗게 생겼음.
    o 뒷-장불【불】대야 뒤에 있는 긴 불.
    o 마당-바우【바위】산의 거리 북쪽에 있는 바위. 위가 마당처럼 평평함.
    o 만듯-기미【晩得】(들)→ 망듯구미.
    o 망-메【망멧산】(산) 북구미 서쪽에 있는 산. 높이 153m. 능산도에서 가장 높으므로 섬사람들이 올라서 망을 보았다 함.
    o 망멧-골【골】망매에 있는 골짜기.
    o 망멧-산【산】→ 망메.
    o 망멧-새미【우물】망메에 있는 섬.
    o 멍엣-골【골】숯굴 남쪽에 있는 골짜기.
    o 목-너메【골】능산 남쪽 고개 너머에 있는 골짜기.
    o 목-너머【골】통기미 남쪽 등성이 너머에 있는 골짜기.
    o 목-넘【고개】대이 서남쪽에서 뒷장불로 가는 고개.
    o 목-섬【대항도, 큰목섬, 항도】(섬) 통구미 서남쪽에 있는 섬. 사람의 목 부분처럼 잘록하데 내륙과 이어 졌음.
    o 목-섬【항도】(섬) 안테 서북쪽에 있는 작은 섬. 목 부분처럼 잘록함.
    o 무서리-끝【부리】뉘머리 서쪽에 있는 부리.
    o 물-목【등】안테 서남쪽에 있는 등성이. 물이 흔함.
    o 밭-동메【산】동메북쪽, 바깥에 있는 산.
    o 북-구미【북기미】(마을) 능산 북쪽, 후미에 있는 마을.
    o 북-기미【마을】→ 북구미.
    o 북-도【섬】가마구섬 북쪽에 있는 섬.
    o 북-섬【북도】(섬) 가마골섬 북쪽에 있는 섬.
    o 불근-나라【후미】개목잔등 남쪽에 있는 후미.
    1) 황토가 많아 땅 빛이 붉음.
    2) 나루가 있었음.
    o 불-안【들】대야북쪽에 있는 들. 앞에 불(백사장)이 있음.
    o 불안-끝【부리】불안 서북쪽에 있는 부리.
    o 사-녀【사서】(여) 신도 서북쪽에 있는 여.
    o 사-서【여】→ 사녀.
    o 산에-거리【섬】→ 산의 거리.
    o 산의-거리【산에거리, 산의도】(섬) 대야도 서쪽에 있는 작은 섬.
    o 산의-도【섬】→ 산의거리.
    o 산장【골】대야 동남쪽에 있는 골짜기.
    o 생궁-나리【나루】활목 동북쪽 후미에 있는 나루.
    o 새암-꾸지【곶】→ 시암꾸지.
    o 소-납도(小納島)【섬】→ 작은 납대기.
    o 소-룡도(小龍島)【섬】작은 용섬.
    o 수리-바구【바위】→ 수리바우.
    o 수리-바우【수리바구】(바위) 수리바우 잔등에 있는 바위. 수리가 살았음.
    o 수리바우-잔등【등】신도 동북쪽에 있는 등성이. 수리바우가 있음.
    o 수리집-골【골】통구미 서북쪼겡 있는 골짜기. 수리집이 많았음.
    o 숯-굴【골】안테 남쪽에 있는 골짜기. 숯을 구웠음.
    o 숯굴-새미【우물】숯굴에 있는 샘.
    o 시암-꾸지【새암꾸지】(곶) 망듯구미 동남쪽에 있는 곶. 샘이 있음.
    o 신-도(新島)【신도리】(마을) 섶섬에 있는 마을.
    o 신-도【섬】→ 섶섬.
    o 신-도【마을】→ 신도.
    o 아래-대미【아리대미】(마을) 용산 아래쪽에 있는 마을.
    o 아라-대미【마을】→ 아래대미.
    o 아릿-골【마을】애야의 아래쪽 골짜기에 있는 마을.
    o 안-테【마을】신도 남북, 안구석에 있는 마을.
    o 앞-녀【전서】(여) 통기미 앞에 있는 여.
    o 앞-녀【여】신도 앞에 있는 여.
    o 어메-도【마을】→ 능산리.
    o 얽은-바우【바위】노랑바우 동쪽에 있는 바위. 얽은 것처럼 작은 구멍이 많이 났음.
    o 여-마짐짝【산】큰선너메 북쪽에 있는 산. 맞은편에 여가 있음.
    o 여추-끝【부리】샛달목 남쪽에 있는 부리. 용이 나와 하늘로 올랐다 함.
    o 엿-기미【후미】용난끈 서남쪽에 있는 후미. 앞에 이가 있음.
    o 용난-끝【부리】망메 서북쪽에 있는 부리. 용이 나와 하늘로 올랐다 함.
    o 용-녀【여】용녀끝에 있는 여. 용처럼 생겼다 함.
    o 용녀-끝【부리】개목 남쪽에 있는 부리. 밑에 용녀가 있음.
    o 용-도(龍島)【섬】→ 용섬.
    o 용-섬【용도】(섬) 장재섬 서남쪽에 있은 섬. 용형국이라함.
    o 우-대미【마을】능산의 위쪽 마을.
    o 웃-골【마을】대야의 위쪽 골짜기에 있는 마을.
    o 작-고랑【골】산장 남쪽에 있는 작은 골짜기.
    o 작은-골【골】뉘머리 서쪽에 있는 작은 골짜기.
    o 작은-납대거【소납도】(섬) 납대기의 작은 섬.
    o 작은-목섬【섬】통구미 동남쪽에 있는 섬. 큰목섬보다 작음.
    o 작은-용섬【소룡도】(섬) 용섬의 작은 섬.
    o 작은-장골【골】장골의 작은 골짜기.
    o 작은-잔구지【곶】진구지의 작은 곳.
    o 장-골【골】능산 서남쪽에 있는 긴 골짜기.
    o 장군-여【대구서, 대굿여】(여) 목섬 서쪽에 있는 여. 모양이 장구처럼 생겼음.
    o 장-도(長島)【섬】→ 진섬.
    o 장재-기미【후미】능산 서남쪽의 맨끝. 장자(부자)가 살았다 함.
    o 장재-도(長在島)【섬】→ 장재섬.
    o 장재-섬【장재도】(섬) 장재기미 앞에 있는 섬.
    o 장잿-여【여】장재섬과 장재기미 사이에 있는 여.
    o 종잔-멀【산】→ 종진몰.
    o 종진-몰【종진멀】(산) 뒷장불 서남쪽에 있는 산마루.
    o 줌-여【여】엿기미 서북쪽에 있는 여. 여러 개가 줄지어 있음.
    o 지문-기미【지응구미】(후미) 엿기미 남쪽에 있는 깊은 후미.
    o 지응-구미(地門)【후미】→ 지문기미.
    o 진-구미【곶】통구미 동쪽에 있는 긴 곶.
    o 진-섬【장도】(섬) 용섬 동쪽에 있는 긴 섬.
    o 집우께-시암【우물】능산 위쪽에 있는 우물.
    o 짱-마당【골】대메 남쪽에 있는 골짜기. 짱(장)치기 하는 마당이 있었음.
    o 큰-골【골】뉘머리 서쪽에 있는 큰 골짜기.
    o 큰-납대기【대납도】(섬) 납대기의 큰 섬.
    o 큰-목섬【섬】→ 목섬.
    o 큰-산【산】대야 서북쪽에 있는 큰산. 높이 300m.
    o 큰-산【산】안테 남쪽에 있는 산. 높이 179m. 섶섬에서 으뜸임.
    o 큰산-너메【골】큰산 너머에 있는 골짜기.
    o 큰-용섬【대룡도】(섬) 용섬의 큰 섬.
    o 큰-장골【골】장골의 큰 골짜기.
    o 큰-제【산】능산 서쪽에 있는 산. 높이 99m.
    o 통-구미(通口味)【통기미】(마을) 능산 서남쪽 후미에 있는 마을. 동그런 형국임.
    o 통-기미【마을】→ 통구미.
    o 팽풍-구미【후미】북구미 북쪽에 있는 후미. 뒷산이 평풍(병풍)을 둘어친 것처럼 죽 둘러 있음.
    o 풍년-골【풍류골】(골) 지문기미 서쪽에 있는 골짜기. 근처에 장구섬과 북섬이 있어 풍류놀이 할만하다 함.
    o 풍류-골(豊年)【골】→ 풍년골.
    o 피밭-너메【골】용난끝 동쪽에 있는 골짜기. 너머에 피밭이 있었다 함.
    o 항-도(項)【섬】→ 목섬.
    o 흥애-부리【산】대야 서남쪽에 있는 산. 홍어 형국이라 함.
    o 활-목【등】안테 동북쪽에 있는 등성이. 활 형국임.

    7) 옥도리(玉島里)
    (1) 마을 개황

    조선 선조 33년(AD 1600년경)에 창원 황씨와 려산송씨가 지금의 놀자리에 이주해 오고 이후 조선숙종 14년에 밀양 박씨가 지금의 허박마을에 이주해와 정착한것이 최초이다.
    지금의 옥도리는 놀자리, 큰몰, 뻘구미. 등 3개 마을로 형성되어 있으며 마을별 거주 대표 성씨는 다음과 같다.
    마을명
    현 거주 대표 성씨
    마을명

    놀자리
    창원 황씨
    뻘구미

    큰 몰
    려산 송씨



    (2) 마을 地名
    o 간닥-개【개】솔개 아래쪽에 있는 개.
    o 갈-머리【산】섶밭산 북쪽, 옥도의 첫머리에 있는 산.
    o 갈머리-끝【부리】갈머리 미티에 있는 부리.
    o 고래-목【목】망메산과 섶밭산 사이에 있는 목 고래등 같음.
    o 골멀【골몰】(마을) 장치 북쪽에 있는 골짜기 마을.
    o 구렁-개【개】간닥개 아래에 있는 개. 바다가 음푹함.
    o 구-자리【섬】꾸자리.
    o 구자릿-개【개】→ 꾸자릿개.
    o 꾸-자리【구자리, 구두도】(섬) 옥섬 동남쪽 갯벌에 있는 섬.
    o 꾸자릿-개【개】꾸자리 앞에 있는 개.
    o 망멧-산【산】장치리 동북쪽에 있는 산. 높이 106m. 옥도에서 가장 높아 위에 올라 망보았음.
    o 멧-밑【들】옥도 동북쪽에 있는 들. 섶밭산 밑이 됨.
    o 배전-골【골】뱃머리 남쪽에 있는 골짜기.
    o 뱃-버리【마을】골멀 서쪽에 있는 마을. 배를 댐.
    o 벌금【마을】→ 벌금리.
    o 벌금-리【벌금】(마을) 옥도 서남쪽에 있는 마을. 후미진 갯벌가가 됨.
    o 생잇집-걸【들】벌금리 서쪽에 있는 들. 생잇집(상엿집)이 있었음.
    o 섶밭-산【산】망메산 동북쪽에 있는 산. 섶나무가 많이 있었음.
    o 솔-개【개】벌금리 남쪽에 있는 개.
    o 송장-개【개】옥도 동쪽에 있는 개.
    o 옥-도(玉島)【마을】→ 옥도리. 우니나라에서 제일먼저 축우소가 생겼음.
    o 옥섬【마을】→ 옥도리.
    o 장치(張峙섬)【당치리】(마을) 옥도 서북쪽에 있는 마을.
    o 장치-리【마을】→ 장치.
    o 중-바우【바위】중박골에 있는 바위.
    o 중박-골【골】옥도 북쪽에 있는 골짜기. 중바우가 있음.
    o 짓-재【산】옥도 뒤쪽에 있는 산.
    o 칠천-개【개】구자릿개 아래쪽에 있는 개.
    o 큰-들【고】고래목 동남쪽에 있는 큰들.
    o 해군-정(海軍)【우물】옥도에 있는 우물. 1904-5년의 노일전쟁때 일본 해군이 옥도에 주둔하여 이물을 길어다 먹었음.






글번호 제 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15 신의면의 민요   관리자 2006/03/02 4712
14 하의면의 민요   관리자 2006/03/02 3261
13 흑산면의 민요   관리자 2006/03/02 5355
12 도초면의 민요   관리자 2006/03/02 2493
11 비금면의 민요   관리자 2006/03/02 4633
10 자은면의 민요   관리자 2006/03/02 2582
9 임자면의 민요   관리자 2006/03/02 2501
8 증도면의 민요   관리자 2006/03/02 2748
7 지도읍의 민요   관리자 2006/03/02 3962
6 신안군의 미풍양속   관리자 2006/03/02 2891
5 하의면 지명지   관리자 2006/03/02 12150
4 신안군의 산(기초자료)   관리자 2006/03/02 2686
3 신안관련 연구목록   관리자 2006/03/02 2772
2 고종실록 흑산도기사   관리자 2006/03/02 3778
1 신안 역사문화개관   관리자 2006/03/02 6098

page 1 2 3 4 5 6



(58753) 전남 목포시 수강로3번길 14 신안군별관 2층 / 전화 : 061) 242-8131 / 팩스 : 061) 243-8132 / sa8131@kccf.or.kr
COPYRIGHT 2006 SHINANCULTURE.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