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와 문화 > 문화유산

글번호 제 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160   [자은면] 자은면 문화유산 신안문화원 2008/2/12 4770


    [자은면] 자은면의 문화유산
    출처 : 목포대학교박물관, 2008 《신안군문화유적분포지도》 신안군

    1. 新安 閑雲理 閑雲墳墓群 (신안 한운리 한운분묘군)
    소 재 지 : 자은면 한운리 한운마을
    시 대 : 고려
    종 류 : 역사분묘
    유적현황 : 유적은 한운마을에서 북쪽으로 200m 정도 떨어진 산사면부와 한운저수지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이곳은 동쪽으로 황해와 인접해 있고, 남쪽으로는 자연제방으로 인해 형성된 ‘한운들’이 마을 앞에 자리하고 있다. 또한 크고 작은 야산들이 한운마을과 한운들을 중심으로 병풍처럼 둘러싸고 있다. 분묘군은 과거부터 도굴이 빈번하게 행해졌던 곳으로 현재도 작은 규모의 봉분들이 수기가 남아있다. 최근 밭 경작과 민묘의 조성과정에서 고려시대 마상배, 유병, 소형합, 소형접시 등이 출토되어 마을주민 성기근씨(73)가 소장하고 있다
    참고문헌 : 신자료

    2. 新安 閑雲理 閑雲陶器窯地① (신안 한운리 한운도기요지①)
    소 재 지 : 자은면 한운리 한운마을
    시 대 : 고려
    종 류 : 요업
    유적현황 : 도기요지는 한운마을에서 동남쪽으로 400m 정도 떨어진 야산(120m)의 북사면부에 위치한다. 이곳은 과거 한운마을에서 고교마을로 넘어가는 고개로서 일명 ‘잔동고개’라고 불린다. 옛 부터 도기를 굽는 가마터가 남아있다고 하여 ‘구창촌’ 또는 ‘귀리창촌’으로 불러왔다. 요지는 동쪽으로 황해와 인접해 있고, 북쪽으로는 자연제방으로 인해 형성된 ‘한운들’이 마을 앞에 자리하고 있다. 또한 크고 작은 야산들이 한운마을과 한운들을 중심으로 병풍처럼 둘러싸고 있다. 현재 도기요지는 민묘와 밭으로 경작되어 훼손이 심하며 주변에는 요벽편과 도지미, 도기편들이 산재해 있다. 한운도기요지②와는 같은 구릉 상에 위치하지만 두 요지 사이에 자연골짜기가 형성되어 있어 두 유적으로 분리 하였다.
    참고문헌 : 신자료

    3. 新安 閑雲理 閑雲陶器窯地② (신안 한운리 한운도기요지②)
    소 재 지 : 자은면 한운리 한운마을
    시 대 : 고려
    종 류 : 요업
    유적현황 : 도기요지는 한운마을에서 동남쪽으로 700m 정도 떨어진 야산(80.6m)의 북사면부에 위치한다. 이곳은 과거 한운마을에서 고교마을로 넘어가는 고개로서 일명 ‘잔동고개’라고 불린다. 옛 부터 도기를 굽는 가마터가 남아있다고 하여 ‘구창촌’ 또는 ‘귀리창촌’으로 불러왔다. 요지는 동쪽으로 황해와 인접해 있고, 북쪽으로는 자연제방으로 인해 형성된 ‘한운들’이 마을 앞에 자리하고 있다. 또한 크고 작은 야산들이 한운마을과 한운들을 중심으로 병풍처럼 둘러싸고 있다. 현재 도기요지는 밭으로 경작되어 훼손이 심하며, 주변에는 요벽편과 도지미, 도기편들이 산재해 있다. 한운도기요지①과는 같은 구릉 상에 위치하지만 두 요지 사이에 자연골짜기가 형성되어 있어 두 유적으로 분리 하였다.
    참고문헌 : 신자료

    4. 新安 閑雲里 閑雲堤功勞不忘碑 (신안 한운리 한운제공로불망비)
    소 재 지 : 자은면 한운리 한운마을
    시 대 : 1956년
    종 류 : 비갈
    유적현황 : 한운마을 입구의 노인회관 맞은편에 있는 비로, 전면에 ‘閑雲堤功勞不忘碑’라 새겨져 있다. 한운저수지의 제방을 쌓는데 공덕이 있는 자은면장 서응삼(徐應三)과 면유지 서영택(徐永澤)의 공덕을 기리기 위해, 한운리 주민들이 1956년에 세웠다. 비의 규모는 높이 116cm, 너비 39cm, 두께 17cm이다.
    참고문헌 : 신자료

    5. 新安 閑雲理 屯長陶器窯地 (신안 한운리 둔장도기요지)
    소 재 지 : 자은면 한운리 둔장마을
    시 대 : 고려
    종 류 : 요업
    유적현황 : 도기요지는 둔장마을과 북쪽 야산(72.5m)의 남쪽 사면부 구릉사이에 위치한다. 요지의 서쪽으로는 황해와 인접해 있고 북쪽과 동쪽으로는 크고 작은 야산이 둘러싸고 있으며, 남쪽으로는 ‘학난동들’이 자리하고 있다. 현재 밭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경지정리 과정에서 훼손되었으나 일부는 비교적 잘 남아 있다. 주변에서 요벽편과 도지미, 도기편들이 수습되었다. 이곳은 ‘한운도기요지’와 인접해 있고 유물의 성격이 같은 것을 미루어 동시기의 요지로 생각된다.
    참고문헌 : 신자료

    6. 新安 大栗里 大栗保護樹 (신안 대율리 대율보호수)
    소 재 지 : 자은면 대율리 922(대율마을)
    시 대 : 조선
    종 류 : 노거수
    유적현황 : 대율 마을 입구에 있는 대율노인정 옆에 위치한다. 수령 204년의 소나무로 나무의 규모는 높이 16m, 둘레 310m에 이른다. 나무의 상태가 매우 양호하다.
    참고문헌 :

    7. 新安 柳川里 柳川牧場址 (신안 유천리 유천목장지)
    소 재 지 : 자은면 유천리 유천마을
    시 대 : 조선
    종 류 : 마정
    유적현황 : 유천마을에서 남서쪽으로 700m 정도 떨어진 야산(180.8m)과 마장산(137.8m) 사이의 골짜기에 자은목장지로 추정되는 석축 흔적이 남아있다. 자은목장에 관한 기록은 『輿地圖書』「나주목 목장조」에 ‘자은목장 내 서곶마장은 폭과 둘레가 10리, 말이 130필이며, 남곶마장은 폭과 둘레가 7리, 말이 188필이다. 곡초(穀草)는 3,200속이며 목자(牧子)는 47명이 있다.’고 기록되어있다. 현재 유천1저수지(柳川一堤)의 서쪽으로 석축의 흔적이 남아있다.
    참고문헌 : 신자료

    8. 新安 鍮脚里 表漢葉孝烈碑 (신안 유각리 표한엽효열비)
    소 재 지 : 자은면 유각리 유각마을
    시 대 : 1947년
    종 류 : 비갈
    유적현황 : 열녀 표한엽(表漢葉)의 행적을 기리기 위해 후손들에 의해 건립된 비이다. 표씨는 일찍이 남편과 사별하고 난 뒤에도 시부모님께 효도하고 자녀들을 교육시켰다. 이에 1842년 ‘효열표창문’을 받아 장남 양렬(良烈)이하 손, 후손들이 1947년에 건립한 것이다. 전면에 ‘新昌表氏孝烈碑’라 명문되어 있으며, 이병관(李柄觀)이 찬(撰)하고, 이상천(李相天)이 서(書)하였다. 비의 규모는 높이 140cm, 폭 37cm, 두께 20cm이다.
    참고문헌 : 신자료

    9. 新安 鍮脚里 恩岩大橋碑群 (신안 유각리 은암대교비군)
    소 재 지 : 자은면 유각리 남진마을
    시 대 : 1740년ㆍ1854년ㆍ근대
    종 류 : 비갈
    유적현황 : 암태면에서 자은으로 들어오는 은암대교의 도로 우측에 4기의 비가 세워져있다. 자은면 곳곳에 흩어져 있던 것을 모아놓은 것이다. ① ‘석씨묘비’로 전면에 ‘○○將軍石公萬之後人鄭氏之墓’라고 명문되어 있고 뒷면에는 후손들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건립연도는 1740년이며, 비의 규모는 높이 108cm, 너비 45cm, 두께 12cm이다. ② ‘김기현불망비’로 나주목사 김기현이 자은면에 시혜를 베풀어 면민들이 세운 것으로, 전면에 ‘牧使金侯箕絢永世不忘碑’라고 명문되어 있으며, 건립연도는 1854년(咸豊4년)이다. 높이 127cm, 너비 44cm, 두께 18cm이다. ③ 자은 용소 주변에서 발견되었던 일본해군기지 경계석으로 높이 103cm, 너비 16cm, 폭 14cm로, 비 전면에 ‘大日本海軍用地’, 후면에 ‘海軍省’이라고 각각 명문되어 있다. ④ 구영리에서 발견되어 마을 주민들은 수군기지에서 배를 묶어두었던 ‘계선주’라고 생각하는 십자형 비로, 아무런 명문이 없으며, 높이 90cm, 너비 31~47cm, 두께 16cm이다.
    참고문헌 : 신자료

    10. 新安 白山里 白山支石墓① (신안 백산리 백산지석묘①)
    소 재 지 : 자은면 백산리 백산마을
    시 대 : 청동기
    종 류 : 지석묘
    유적현황 : 백산마을에서 남동쪽으로 650m 정도 떨어진 안산(38.3m)으로 불리는 야산의 북쪽 능선 끝자락에 위치하고 있다. 이곳은 야산사이에 형성된 곡간지로 북쪽으로는 백산들이, 동쪽으로는 바다가 내려다보인다. 상석의 평면 형태는 장방형이며, 규모는 장축길이 430cm, 단축길이 280cm, 두께 50cm 정도이다. 현재 지석묘의 상석은 북동쪽으로 기울어져 있으며, 하부구조로 묘실이 노출되어 있다.
    참고문헌 : 木浦大學校博物館 1987,『新安郡의 文化遺蹟』.

    11. 新安 白山里 白山支石墓群② (신안 백산리 백산지석묘군②)
    소 재 지 : 자은면 백산리 백산마을
    시 대 : 청동기
    종 류 : 지석묘
    유적현황 : 백산마을 경로당에서 북서쪽으로 300m 정도 떨어진 구릉의 정상부에 위치하고 있다. 이곳은 야산(70m) 사이에 형성된 곡간지로 현재 밭으로 사용되고 있다. 지석묘는 야산의 능선방향과 일치하며, 총 3기가 확인되었다. 3기 중 2기는 매몰되어 있으며, 1기는 밭둑으로 인하여 지석이 노출되어 있는 상태이다. 대표적인 1호 지석묘 상석의 평면형태는 장타원형이며, 규모는 장축길이 400cm, 단축길이 250cm, 두께 50cm 정도이다. 하부구조로 지석 1매가 관찰된다.
    참고문헌 : 木浦大學校博物館 1987,『新安郡의 文化遺蹟』.

    12. 新安 白山里 新成遺物散布地 (신안 백산리 신성유물산포지)
    소 재 지 : 자은면 백산리 신성마을
    시 대 : 청동기
    종 류 : 유물산포지
    유적개요 : 신성마을 노인정에서 동쪽으로 600m 정도 떨어진 용소저수지 서쪽편에 위치하고 있다. 이곳은 옛날에 용이 살았다 해서 ‘용소’라 불리는데 수량이 풍부해서 주변 땅콩밭 등의 용수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용소주변은 광활한 사질토 지대이며, 주변에는 신성지석묘군과 패총 등이 있어 선사시대 유적이 집중되어 있는 곳이다. 유물은 현재 확인되지 않으나 1987년 지표조사에서는 석부 1점, 돌끌 1점, 용도미상의 석기 1점이 수습되었다.
    참고문헌 : 木浦大學校博物館 1987,『新安郡의 文化遺蹟』.

    13. 新安 白山里 新成支石墓群 (신안 백산리 신성지석묘군)
    소 재 지 : 자은면 백산리 신성마을
    시 대 : 청동기
    종 류 : 지석묘
    유적개요 : 신성마을의 신성교회에서 남동쪽으로 200m 정도 떨어진 구장달산(73.3m)으로 불리는 야산의 서쪽 끝자락에 위치하고 있다. 이곳은 야산사이에 형성된 평지의 중앙으로 남쪽에는 신성해수욕장이 내려다보인다. 1987년 지표조사 당시 총 5기의 지석묘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이번 조사에서 주변을 조사한 결과 5기의 지석묘가 추가로 확인되었다. 지석묘는 산줄기 방향인 동-서 방향으로 군집을 이루고 있으나 일부 지석묘는 이동된 듯 보인다. 대표적인 1호 지석묘의 평면형태는 장타원형이며, 규모는 장축길이 470cm, 단축 280cm, 두께 180cm 정도이다. 하부구조로는 6개의 지석이 관찰된다.
    참고문헌 : 木浦大學校博物館 1987,『新安郡의 文化遺蹟』.

    14. 新安 舊營里 舊營甕棺古墳 (신안 구영리 구영옹관고분)
    소 재 지 : 자은면 구영리 구영마을
    시 대 : 삼국
    종 류 : 고분
    유적개요 : 구영마을에서 금포마을로 가는 805번 지방도로 서쪽편에 위치하고 있다. 이곳은 해발 100m 정도의 야산이 병풍처럼 둘러쌓인 곳으로 수풀과 잡목이 우거져 있으며, 일부는 논과 밭으로 이용되고 있다. 기 조사에서 옹관고분은 도로준설과정에서 드러난 단면상에 박혀 있었으나, 현재는 옹관편을 확인할 수 없었다.
    참고문헌 : 이헌종 2003,「자은도의 신발견 옹관고분」,『도서문화 제22집』.

    15. 新安 舊營里 舊營長大石井 (신안 구영리 구영장대석우물)
    소 재 지 : 자은면 구영리 구영마을
    시 대 : 조선
    종 류 : 생활유적
    유적개요 : 구영마을의 북동쪽에 자리한 구영제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구영리는 조선시대에 수군기지가 있었던 곳으로 알려진 곳이다. 이와 관련된 시설물 중 하나인 우물은 수군영에서 사용한 것으로 전해져 내려온다. 우물의 평면형태는 장방형이며, 규모는 길이 220cm, 너비 190cm 정도이다. 축조방법은 상․하면이 잘 다듬어진 판석을 사용하여 만든 것으로 판단되나 현재 우물안쪽에는 물이 가득 차 있어 정확한 형태는 파악할 수 없다. 또한 우물의 각 모서리에는 높이 50cm 정도의 기둥 1매씩이 세워져 있다.
    참고문헌 : 신자료

    16. 新安 舊營里 조계옥家屋 (신안 구영리 조계옥가옥)
    소 재 지 : 자은면 구영리 구영마을
    시 대 : 조선
    종 류 : 주거건축
    유적현황 : 건축연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19세기 후반으로 추정된다. 안채를 대지의 뒤쪽에 남향으로 앉히고 그 전면 좌측으로 헛간채, 우측으로 측간채를 배치하였다. 안방과 마래 전면의 두리기둥 사용과 아치형의 퇴보가 주목되는 점이다. 현재는 지붕개량을 하여 외형상으로는 원형을 많이 상실한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 木浦大學校博物館 1987,『新安郡의 文化遺蹟』.

    17. 新安 舊營里 徐應烈紀念碑ㆍ李華玉紀念碑 (신안 구영리 서응렬기념비ㆍ이화옥기념비)
    소 재 지 : 자은면 구영리 구영마을
    시 대 : 1936ㆍ1942년
    종 류 : 비갈
    유적현황 : 자은초등학교 운동장가에 2기의 비가 서있다. ‘서응렬기념비’와 ‘이화옥기념비’로 학교 발전에 기여한 공(功)을 기념하기 위한 비이다. ‘서응렬기념비’는 전면에 ‘敎學評議員徐公應烈敎育紀念碑’라고 새겨져 있으며, 높이 102cm, 너비 36cm, 두께 17cm이다. 1942년(昭和 17년)에 건립되었다. ‘이화옥기념비’는 전면에 ‘公立普通學校長○○○○○○李公華玉紀念碑’라고 새겨져있으며, 높이 144cm에 너비와 두께가 26cm인 정사각형의 비이다. 1936년(昭和 11년)에 건립되었다.
    참고문헌 : 신자료

    18. 新安 舊營里 舊營山城 (신안 구영리 구영산성)
    소 재 지 : 자은면 구영리 두모산
    시 대 : 조선
    종 류 : 성곽
    유적현황 : 구영마을 북동쪽에서 1k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한 ‘두모산’ 정상부에 돈대(墩臺) 규모의 석성이 위치한다. 구영마을 동쪽에 위치하는 ‘두봉산’의 산줄기가 북서쪽으로 뻗어져 ‘두모산(225m)’을 형성하며, 서쪽으로 구영리와 동쪽으로 대율리를 경계로 하고 있다. 산성은 정상부를 따라 할석을 이용해 성벽을 쌓았으나 북쪽은 암반을 자연지형 그대로 이용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성벽은 부분적으로 남아 있으며, 등산로와 정상부에 정자를 신축하는 과정에서 파괴되어 성벽의 석재가 주변에 산재해 있다. 또한 정상부 가운데에 봉수터가 있었다고 구전되어지지만 현재 흔적만이 남아있고 그 원형은 찾기 힘들다. 산성주변에서 조선시대의 기와와 자기편들이 수습된 것을 미루어 조선시대 산성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 신자료

    19. 古場 고인돌(고장 고인돌)
    소 재 지 : 자은면 고장리 581(고장마을)
    시 대 : 청동기
    종 류 : 지석묘
    유적개요 : 고장마을 입구의 구릉사면에 4기가 위치하고 있다. 이곳은 송곳산(139.1m)에서 남쪽으로 뻗은 산자락의 말단부로 ‘고장들’로 불리는 넓은 간척지가 내려다보인다. 지석묘는 총 5기가 있었으나 마을길을 내면서 1기가 훼손되었다. 4기는 산줄기 방향과 일치하게 군집을 이루고 있다. 대표적인 1호 지석묘 상석의 평면형태는 장방형이며, 규모는 장축길이 280cm, 단축길이 130cm, 두께 70cm 이다. 또한 상석의 상면에는 여러 곳에 걸쳐 성혈흔적이 관찰되며, 상석 아래에는 지석 3개가 노출되어 있다.
    참고문헌 : 木浦大學校博物館 1987,『新安郡의 文化遺蹟』.






(58753) 전남 목포시 수강로3번길 14 신안군별관 2층 / 전화 : 061) 242-8131 / 팩스 : 061) 243-8132 / sa8131@kccf.or.kr
COPYRIGHT 2006 SHINANCULTURE.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