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와 문화 > 문화유산

글번호 제 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157   [팔금면] 팔금면 문화유산 신안문화원 2008/2/12 3750


    [팔금면] 팔금면의 문화유산
    출처 : 목포대학교박물관, 2008 《신안군문화유적분포지도》 신안군

    1. 新安 長村里 慶州金氏孝烈碑閣 (신안 장촌리 경주김씨효열비각)
    소 재 지 : 팔금면 장촌리 원마마을
    시 대 : 1944년
    종 류 : 유교건축
    유적현황 : 마을회관에서 북서쪽으로 50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무안향교 유림들에 의해 천거되어 성균관에서 열녀로 포상한 경주김씨의 열행을 기리기 위해 후손들이 1944년 건립하였다. 비각은 정면 1칸, 측면 1칸의 목조건물로 기둥만 석축으로 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1기의 비와 현판이 걸려있다. 비의 전면에는 ‘烈婦慶州金氏事蹟碑’라 새겨져 있고, 후면은 김씨부인의 행적이 기록되어 있다. 申佐均이 撰하고, 金漢禧가 書하였다. 규모는 높이 136cm, 폭 52cm, 두께 24cm이다. 현판은「烈孝婦金氏事蹟碑」(己卯年, 李炳壽 述),「烈婦金氏紀蹟碑 」(辛巳年, 崔秉心 撰)이다.
    참고문헌 :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2005,『도서 문화유적 지표조사 및 자원화 연구5 -안좌ㆍ팔금면 편-』.

    2. 新安 大深里 鄭璡文 ․ 淸州韓氏雙孝碑 (신안 대심리 정진문 ․ 청주한씨쌍효비)
    소 재 지 : 팔금면 대심리 소심마을
    시 대 : 1952년
    종 류 : 비갈
    유적현황 : 소심마을 끝자락에 위치하며, 효자 정진문과 그의 부인 청주한씨의 효행을 기념하기 위해 1952년에 건립되었다. 정진문의 본관은 晉州이며, 文定公 鄭以吾의 후손이다. 정진문과 그의 부인 청주한씨는 부모님이 병을 얻어 쓰러지자, 잠시도 병상을 떠나지 않았으며, 부모님이 세상을 떠난 후에도 3년 동안 시묘살이를 하며 예를 다하였다고 한다. 비의 전면에는 ‘孝子晉州鄭公璡文孝婦淸州韓氏雙孝碑’라 명문되어 있으며, 후면에 부부의 효행사실이 기록되어 있다. 비문은 李炳觀이 撰하였다. 규모는 높이 128cm, 폭 46cm, 두께 18.5cm이다.
    참고문헌 :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2005,『도서 문화유적 지표조사 및 자원화 연구5 -안좌ㆍ팔금면 편-』.

    3. 新安 大深里 大山頭遺物散布地 (신안 대심리 대산두유물산포지)
    소 재 지 : 팔금면 대심리 대산두마을
    시 대 : 삼국
    종 류 : 유물산포지
    유적현황 : 유물산포지는 대산두마을 동남쪽에 위치한 저평한 구릉 일대로 805번 지방도에 인접해 있다. 이곳은 동쪽에 위치한 ‘금당산(130.3m)’의 남서쪽 구릉으로 대산두마을과 대심마을의 경계이다. 현재 구릉 대부분이 개간되어 밭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기조사에서 회청색 경질토기편들이 수습되었다. 유물산포지 서쪽으로 25m 떨어진 곳에 장택고씨효행비가 있다.
    참고문헌 :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2005,『도서 문화유적 지표조사 및 자원화 연구5 -안좌ㆍ팔금면 편-』.

    4. 新安 大深里 長澤高氏孝行碑 (신안 대심리 장택고씨효행비)
    소 재 지 : 팔금면 대심리 대산두마을
    시 대 : 1953년
    종 류 : 비갈
    유적현황 : 마을회관 오른편에 위치한다. 장택고씨 부인의 효행을 기리기 위해 1953년 고씨의 사위 金洪述이 건립하였다. 고씨부인은 천성이 온화하였으며, 시어른을 봉양하고 자녀들을 교육하는데 정성을 다하여 열녀로 포상되었다. 비의 전면에는 ‘貞夫人長澤高氏孝烈碑’라 명문 되어있고, 후면에 고씨부인의 행적이 기록되어 있다. 비의 주변으로 석축담장이 둘러져 있다. 비의 규모는 높이 132.5cm, 폭 69.5cm, 두께 15cm이다.
    참고문헌 :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2005,『도서 문화유적 지표조사 및 자원화 연구5 -안좌ㆍ팔금면 편-』.

    5. 新安 元山里 元山우실 (신안 원산리 원산우실)
    소 재 지 : 팔금면 원산리 원산마을
    시 대 : 미상
    종 류 : 생활유적ㆍ민속유적
    유적현황 : 우실은 마을 뒤편 구릉에 있는 소나무와 전나무군락지로, 중간부분에 장목마을로 넘어가는 길이 있다. 우실은 마을 북쪽을 감싸고 있어서 북풍인 하누바람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이웃마을과 연결되는 출입구로서의 기능과 마을의 안과 밖을 구분하는 구분선의 기능도 한다. 마을 주민에 의하면, 우실 가운데에 있던 큰 소나무에서 당제를 지냈으며, 제의 때 막을 펴놓고 목욕재개를 했다고 한다. 그러나 당제는 70~80년 전에 중단되었고, 현재 당제를 지내던 소나무도 남아있지 않다.
    참고문헌 :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2005,『도서 문화유적 지표조사 및 자원화 연구5 -안좌ㆍ팔금면 편-』.

    6. 新安 元山里 김창복家屋 (신안 원산리 김창복가옥)
    소 재 지 : 팔금면 원산리 1827(서근마을)
    시 대 : 1900년대 중
    종 류 : 주거건축
    유적현황 : 원산리 서근마을에 위치한다. 전형적인 신안도서지방 민가구조를 보인다. 마래, 안방, 정지, 모방의 4실로 이루어진 형식이다. 큰방과 마래사이 대청이 설치되어 있다. 정지 전면 모퉁이에 모방이 있으며, 모방은 정지 안쪽으로 반쯤 침투되어 있어 완전한 ‘一’ 자형을 이루고 있다. 상대적으로 정지공간이 축소되는 반면, 구조적으로는 단순화되고 있다. 정지와 모방 옆으로 소청과 갓방이 부설되어 있다. 현재 원형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
    참고문헌 :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2005,『도서 문화유적 지표조사 및 자원화 연구5 -안좌ㆍ팔금면 편-』.

    7. 新安 邑里 邑里遺物散布地(신안 읍리 읍리유물산포지)
    소 재 지 : 팔금면 읍리 62(읍리마을)
    시 대 : 삼국
    종 류 : 유물산포지
    유적현황 : 읍리마을에서 진고리 방향으로 400m 정도 가다보면 동-서방향의 낮은 구릉이 형성되어 있다. 유물산포지는 이곳 도로좌측의 구릉 말단부에 해당하며, 동쪽으로는 넓은 간척지가 펼쳐져있다. 현재 구릉의 전체사면은 대부분 개간이 이루어진 상태로서 밭으로 경작되고 있다. 기조사에서 회청색 경질토기편들이 수습되었다.
    참고문헌 :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2005,『도서 문화유적 지표조사 및 자원화 연구5 -안좌ㆍ팔금면 편-』.

    8. 八禽 三層石塔 (팔금 삼층석탑)
    소 재 지 : 팔금면 읍리 350-1(읍리마을)
    시 대 : 고려
    종 류 : 사지
    유적현황 : 면사무소에서 팔금중학교로 넘어가는 도로 우측 밭에 위치한다. 석탑은 방형의 평면으로 2층 기단위에 3층의 탑신과 상륜부로 구성되어 있다. 총 높이 2.3m이며, 4매의 판석으로 결구한 지대석 상면에 4매의 판석으로 결구한 하대중석을 놓았는데 각 면에는 아무런 조식이 없다. 1석으로 조성된 하대갑석은 사선형으로 기단면석을 받고 있다. 탑신은 옥신과 옥개석이 각각 1석씩으로 되어 있고, 상륜부에는 현재 노반과 앙화만이 남아있다.《조선보물 고적조사 자료》에 의하면 4층탑으로 조사 보고 되어있는 것으로 보아 이 3층 석탑은 본래의 층수가 아닌 것으로 추정된다. 석탑에서 30m 정도 떨어진 곳에 이병연효자비각이 위치하고 있다.
    참고문헌 : 木浦大學校博物館 1987,『新安郡의 文化遺蹟』.

    9. 新安 邑里 邑里空家 (신안 읍리 읍리공가)
    소 재 지 : 팔금면 읍리 249(읍리마을)
    시 대 : 1840년
    종 류 : 주거건축
    유적현황 : 초가로 안채는 ‘一’ 자형이며 행랑채가 있는 큰 규모의 가옥이다. 안채의 평면형태는 左로 소청, 정지, 안방, 마래 순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소청과 정지 앞으로 갓방과 모방이 갖추어진 다양한 평면구성이다. 현재 공가로 관리가 되지 않고 방치되어 있다.
    참고문헌 :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2005,『도서 문화유적 지표조사 및 자원화 연구5 -안좌ㆍ팔금면 편-』.

    10. 新安 邑里 정복진家屋 (신안 읍리 정복진가옥)
    소 재 지 : 팔금면 읍리 574(읍리마을)
    시 대 : 1800년대 말
    종 류 : 주거건축
    유적현황 : 가옥의 안채는 ‘一’ 자형으로 내부공간은 모방, 부엌, 안방, 마래 순으로 배열되어 있다. 전형적인 신안도서지방 민가구조와 공간배치가 다르다. 모방이 정지의 측면에 배치되어 정지의 공간이 확대된 것이 특징이다. 현재 원형이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
    참고문헌 :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2005,『도서 문화유적 지표조사 및 자원화 연구5 -안좌ㆍ팔금면 편-』.

    11. 新安 邑里 주명선家屋 (신안 읍리 주명선가옥)
    소 재 지 : 팔금면 읍리 575(읍리마을)
    시 대 : 1800년대 말
    종 류 : 주거건축
    유적현황 : 마래, 안방, 정지, 모방의 4실로 이루어진 형식에 정지와 모방 측면으로 외양간(헛간)과 갓방이 겹집형식으로 추가되어 실이 4실에서 6실로 늘어나는 형식이다. 모방이 전면의 퇴주선(退柱線)보다 약 1m 정도 앞쪽으로 돌출되어 있어 ‘一’ 자형 평면 이지만 ‘ㄱ' 자형을 연상케 한다. 또한 마래에 위패 안치공간이 설치되어있으며, 안방과 마래 사이 대청이 있다. 현재 지붕을 개량하였으며, 내부공간은 원형을 유지하고 있다.
    참고문헌 :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2005,『도서 문화유적 지표조사 및 자원화 연구5 -안좌ㆍ팔금면 편-』.

    12. 新安 邑里 李炳淵孝子碑閣 (신안 읍리 이병연효자비각)
    소 재 지 : 팔금면 읍리 읍리마을
    시 대 : 1937년
    종 류 : 유교건축
    유적현황 : 마을의 초입에 위치한다. 비각의 좌측으로 읍리 삼층석탑이 있다. 비각의 규모는 정면 2칸, 측면 1칸이며, 목조 팔작지붕으로 주변은 돌담으로 둘러싸여 있다. 비각내부에는 2기의 비가 있는데, 1기는 陽城 李炳淵의 효자비이고, 다른 하나는 濟州梁氏의 효열비이다. 효자비의 전면에는 ‘孝子通訓大夫司憲府監察陽城李公炳淵之碑’라 새겨져 있다. 규모는 높이 118.5cm, 폭 40.5cm, 두께19cm이다. 열부제주양씨는 學生 李成九의 부인이다. 비의 전면에는 ‘烈婦學生陽城李公成九妻孺人濟州梁氏之碑’ 라 새겨져 있다. 비석이 후면에 비문이 새겨져 있으나 마모가 심해서 판독하기가 어렵다. 규모는 높이 122.5cm, 폭 39.5cm, 두께 19cm이다.
    참고문헌 :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2005,『도서 문화유적 지표조사 및 자원화 연구5 -안좌ㆍ팔금면 편-』.

    13. 新安 眞古里 정정강家屋 (신안 진고리 정정강가옥)
    소 재 지 : 팔금면 진고리 470(진고마을)
    시 대 : 1850년대
    종 류 : 주거건축
    유적현황 : 마래, 안방, 정지, 모방의 4실로 이루어진 형식에 정지와 모방 측면으로 나무청과 갓방이 겹집형식으로 추가되어 실이 4실에서 6실로 늘어나는 형식이다. 모방이 전면의 퇴주선(退柱線)보다 약 1m 정도 앞쪽으로 돌출되어 있어 ‘一’ 자형 평면 이지만 ‘ㄱ' 자형을 연상케 한다. 현재 원형을 유지하고 있다.
    참고문헌 :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2005,『도서 문화유적 지표조사 및 자원화 연구5 -안좌ㆍ팔금면 편-』.

    14. 新安 梨木里 梨木遺物散布地 (신안 이목리 이목유물산포지)
    소 재 지 : 팔금면 이목리 이목마을
    시 대 : 삼국
    종 류 : 유물산포지
    유적현황 : 당고리에서 거문도 방향으로 500m정도 가다보면 도로 좌측에 나지막한 구릉(10.4m)이 형성되어 있다. 구릉에는 폐기물종합처리시설이 있고 북동쪽으로 장벌염전이 자리한다. 유물산포지는 이 건물의 남쪽에 해당되는 밭에 위치하며, 기조사에서 석기와 경질토기편들이 수습되었다.
    참고문헌 :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2005,『도서 문화유적 지표조사 및 자원화 연구5 -안좌ㆍ팔금면 편-』.

    15. 新安 梨木里 李自玉紀念碑 (신안 이목리 이자옥기념비)
    소 재 지 : 팔금면 이목리 이목마을
    시 대 : 1942년
    종 류 : 비갈
    유적현황 : 이 비는 마을 표지석 건너편에 있다. 李自玉은 인근지역 5개 마을 주민들이 함께 모일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 주었으며, 특히 마을 주민들 가운데 생활이 어려운 사람들에게 논밭을 기증하였다. 이에 마을사람들이 공의 행적을 기념하기 위해 1942년에 세웠다. 비의 전면에는 ‘故李君自玉有功紀念碑’와 공의 행적을 노래한 4언 절구가 새겨져 있다. 규모는 높이 129.5cm, 폭41.5cm, 두께13.7cm이다.
    참고문헌 :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2005,『도서 문화유적 지표조사 및 자원화 연구5 -안좌ㆍ팔금면 편-』.

    16. 新安 梨木里 梨木우실 (신안 이목리 이목우실)
    소 재 지 : 팔금면 이목리 이목마을
    시 대 : 미상
    종 류 : 생활유적ㆍ민속유적
    유적현황 : 우실은 마을 뒤편 북서쪽에 위치한 팽나무 군락이다. 마을 뒤편 북서쪽에 위치하고 있어 북서풍인 하누바람을 막아준다. 예전에는 팽나무가 빽빽이 들어서서 마을을 감싸고 있었는데, 지금은 몇 그루만 남아있다. 이목리에서는 정월 14일 저녁에 당산나무에서 당제를 지냈다. 신격은 당산할아버지ㆍ당산할머니로 파악되는데, 당제가 오래 전에 중단되어서 구체적으로 기억하는 사람이 없다. 다만 20여 년 전에 마을의 불상사로 인해 중단되었던 당제를 다시 지낸 사례가 있다. 당제는 마을 우실 끝에 위치한 팽나무에서 거행된다.
    참고문헌 :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2005,『도서 문화유적 지표조사 및 자원화 연구5 -안좌ㆍ팔금면 편-』.

    17. 新安 唐古里 唐古遺物散布地 (신안 당고리 당고유물산포지)
    소 재 지 : 팔금면 당고리 당고마을
    시 대 : 삼국
    종 류 : 유물산포지
    유적현황 : 마을로 들어서기 전 도로 우측에 농협창고가 있다. 유적은 이 창고의 동쪽 구릉(7.5m)에 해당한다. 현재 대부분 개간이 이루어져 밭으로 경작되고 있으며, 기조사에서 회청색경질토기편들이 수습되었다.
    참고문헌 :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2005,『도서 문화유적 지표조사 및 자원화 연구5 -안좌ㆍ팔금면 편-』.

    18. 新安 唐古里 唐古空家 (신안 당고리 당고공가)
    소 재 지 : 팔금면 당고리 25(당고마을)
    시 대 : 1800년대 중
    종 류 : 주거건축
    유적현황 : 마래, 안방, 정지, 모방의 4실로 이루어진 형식에 정지와 모방 측면으로 나무청과 갓방이 겹집형식으로 추가되어 실이 4실에서 6실로 늘어나는 형식이다. 모방이 전면의 퇴주선(退柱線)보다 약 1m 정도 앞쪽으로 돌출되어 있어 ‘一’ 자형 평면 이지만 ‘ㄱ' 자형을 연상케 한다. 마래가 2칸으로 되어있어 매우 넓은 것이 특징이다. 현재 원형을 유지하고 있다.
    참고문헌 :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2005,『도서 문화유적 지표조사 및 자원화 연구5 -안좌ㆍ팔금면 편-』.

    19. 新安 唐古里 조복용家屋 (신안 당고리 조복용가옥)
    소 재 지 : 팔금면 당고리 864(당고마을)
    시 대 : 1800년대 말
    종 류 : 주거건축
    유적현황 : 전형적인 신안도서지방 민가구조를 보인다. 마래, 안방, 정지, 모방의 4실로 이루어진 형식에 갓방이 추가되었다. 정지 전면 모퉁이에 모방과 갓방이 있으며, 모방과 갓방은 정지 안쪽으로 반쯤 침투되어 있어 완전한 ‘一’ 자형을 이루고 있다. 상대적으로 정지공간이 축소되는 반면, 구조적으로는 단순화되고 있다. 갓방 뒤쪽으로는 정지공간이 소청 등으로 분리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원형을 유지하고 있다.
    참고문헌 :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2005,『도서 문화유적 지표조사 및 자원화 연구5 -안좌ㆍ팔금면 편-』.

    20. 新安 唐古里 설연순家屋 (신안 당고리 설연순가옥)
    소 재 지 : 팔금면 당고리 1059(당고마을)
    시 대 : 1900년대 초~중
    종 류 : 주거건축
    유적현황 : 전형적인 신안도서지방 민가구조를 보인다. 마래, 안방, 정지, 모방의 4실로 이루어진 형식에 갓방이 추가되었다. 정지 전면 모퉁이에 모방과 갓방이 있으며, 모방과 갓방은 정지 안쪽으로 반쯤 침투되어 있어 완전한 ‘一’ 자형을 이루고 있다. 상대적으로 정지공간이 축소되는 반면, 구조적으로는 단순화되고 있다. 마래가 2칸으로 되어있어 매우 넓은 것이 특징이다. 현재 원형을 유지하고 있다.
    참고문헌 :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2005,『도서 문화유적 지표조사 및 자원화 연구5 -안좌ㆍ팔금면 편-』.






(58753) 전남 목포시 수강로3번길 14 신안군별관 2층 / 전화 : 061) 242-8131 / 팩스 : 061) 243-8132 / sa8131@kccf.or.kr
COPYRIGHT 2006 SHINANCULTURE.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