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와 문화 > 민속

글번호 제 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35   장산도․하의도의 세시풍속 신안문화원 2006/3/23 8675


    장산도.하의도의 세시풍속

    1)정월

    (1) 설쇠기

    정월 초하루날 조상님께 차례를 지낸다. 제물은 밥, 떡국, 고기, 차서숙떡, 콩나물, 채숙 등이며, “함씨, 하납씨, 엄매, 아버지”의 지방 없이 주, 과, 포를 놓고 지낸다. 아침 일찍부터 돌아다니며 세배하고 산소에 성묘 간다.
    정초에 하는 놀이는 횃불놀이가 있는데, 너르섬과 작은개가 맞붙어 시합한다. 횃불은 산에서 나무를 가져오거나 짚으로 만든다. 횃불놀이는 다른 마을과 하는 경우도 있지만 자기 동네 사람들끼리도 한다. 농악, 골패, 연날리기, 널뛰기, 윷놀이, 화투, 꿩받기(돌줍기) 등을 하며 논다.

    (2) 정초 금기

    정월 초하루에 칡을 먹으면 1년 잔병 방비된다.
    쥐날에 불을 쓰지 않는다. 초저녁에 불을 쓰면 쥐가 성한다.
    소날은 아무일도 하지 않는다. 이 날 일하면 소가 밭작물을 많이 먹어버린다.
    개날 일하면 1년 내내 굴러서 보리밭 망친다.
    용날은 우물에서 물을 긷지 않는다. 물을 길으면 모할 때 비가 오기 때문이다.
    뱀날 일하면 뱀이 달라 든다. 뱀이 나오지 말라고 “진대 끗자, 배암 끗자”하며, 수수깡을 뒤안으로 끌고 가서 버린다.
    돼지날 일하면 여름에 더위를 많이 탄다.
    닭날은 닭이 지붕에 올라가서 헤치지 못하게 한다.

    (3) 정월 보름

    ㄱ. 달구경
    정월에 달구경을 한다. 동네 산에 올라가 먼저 달을 본 사람이 아들 낳고 재수도 좋다. 달이 낮게 뜨면 농사가 잘되고 높이 뜨면 시절이 좋지 않다.
    ㄴ.오곡밥
    팥, 찹쌀, 수수, 녹두, 보리를 가지고 오곡밥을 한다. 챗밥이 약이 된다 하여 쪽박과 채를 처녀나 총각들이 가지고 얻으러 다닌다. 밥을 몰래 갖다 먹고 빈 그릇을 제자리에 갖다 놓는다. 세 성받이의 밥을 얻어다 개에게 먼저 던져주면서 “내버짐 니가 되어라”고 한 다음 먹는다.
    ㄷ. 더위 팔기
    더위를 판다하여 상대방을 불러서 “아무개야 내 더위”, “내다구”를 한다. 그러면 그 해의 여름 더위를 잘 넘기게 된다.
    ㄹ. 유지지
    정월에는 유지지라 하여 대(竹)에 빗지락이나 종이를 짚으로 묶어서 꽂아 놓는다. 수수대, 간짓대에 지북색이 틀어놓고 빗자루를 걸어서 유지지를 만들고 장그릇 담는다. 속담에 “벼슬이 천이라도 유지지 하나가 으뜸이다.”라는 말이 있다.
    ㅁ. 줄다리기
    동네 아낙네와 남자들이 섞여 동과 서로 갈라서 줄다리기를 한다. 짚을 모아 부락 앞에서 세 가닥의 줄을 꼬아 남자는 남자끼리, 여자는 여자끼리 당겨 진 편이 술을 낸다. 우데미, 아래데미로 갈라서 한다.
    ㅂ. 소 밥주기
    정월 보름에 소에게 밥과 콩을 줘서 소가 밥 먼저 먹으면 농사가 잘 되고 콩을 먼저 먹으면 콩 농사가 잘된다.
    ㅅ. 논두렁에 불지르기
    저녁에 나무를 훔쳐다 경쟁적으로 불을 피우는데, 불길이 높이 오른 쪽이 이긴다.
    ㅇ. 정월 보름에 사내기가 못나오게 “사내기 가내자”, “비암 때리자” 왼손으로 새끼를 꼬아 피마주 막대기에 묶어서 새끼줄에 숯, 고추, 머리카락을 꽂아 끌고 다닌다. 뒤에 있는 사람은 “지내 땔자”, “배암 땔자”하면서 끌고 다니다 버린다.
    ㅈ. 보름에 더위 안타도록 하기 위해 왼새끼를 꼬아 소, 돼지에게 채워 준다.
    ㅊ. 손 끄스럼이 일지 않게 콩을 볶아 먹는다.

    (4) 입춘

    입춘일은 글씨를 써서 기둥에다 붙인다. “입춘대길(立春大吉)”, “가화만사성(家和萬事成)” 등의 글을 써서 부엌문에 붙인다.

    2) 2, 3月의 세시풍속

    (1) 2월 1일

    2월 1일을 하리달이라 하고 밥을 해놓고 손끄스럼이 일지 않게 콩을 볶아 먹는다. 마당 가운데 짚을 놓고 양판에다 물을 떠놓고 빈다. “할머니, 하늘에서 비를 줘서 농사를 잘되게 해주고 가정을 편히 해주쇼”

    (2) 경칩

    경칩일에 산물고지에서 머구리 알을 먹는다.

    (3) 한식 쇠기(2月 3日)

    한식은 음식은 장만하되 상은 차리지 않았고 남녀노소 없이 동무 간에 음식 장만한 것을 가지고 산에 가서 먹고 논다. 이때 씨앗(쑤시, 호박, 옥수수)도 뿌리면 잘 크고, 허물어지거나 파인 곳을 흙으로 매운다.

    (4) 영등 내림

    2월 15일에 영등이 내리는데, 비 영등이 내리면 농사에 좋고, 바람 영등이 내리면 소금에 좋다. 바람 영등할머니가 온다고 마당에 물을 떠놓고 빌며 밥을 해서 마루에 차려 놓는다. 2월 초에 바람 영등이 내리면 농사에 안 좋고 비 영등이 내리면 좋다. 2월 초하룻날 서리가 내리며 해충이 많고 한올 바람이 불면 해충이 적다.

    (5) 삼월 삼짓

    3월 3일을 삼짓날이라 하고 성주상은 차리지 않으며 옛날에는 온동네가 쉬고 놀았다. 이날 조상밥을 하고 삼질을 세운다.

    3) 4, 5, 6월의 세시풍속

    (1) 4월 곡우

    4월 곡우날은 농사를 시작하기 위해 씨나락을 담그고 밥, 반찬 등을 성주 앞에 차린다. 4월 곡우날은 곡우물이 와야 이종한다. 곡우물을 찍어 먹어 달면은 농사가 잘 된다.

    (2) 5월 단오

    5월 단오날은 온 마을이 쉬고, 쑥물로 머리감고 몸을 닦는다. 상추물로 세수하면 버짐이 없어진다.

    (3) 6월 유두

    6월 유두날은 마루에 조상, 성주님께 밥을 차려 놓는다. 돼지고기, 시루떡, 콩나물, 밀문지 등을 장만하고 온 동네가 쉬었는데 지금은 쉬지 않는다.

    4) 7, 8, 9월의 세시풍속

    (1) 칠석맞이

    7월 7일을 칠석이라 이르며 상을 차려놓고 밀문지를 부쳤으며 온 마을이 쉬었다. 견우 직녀가 만나는 것을 보기 위해 산에 올라간다. 조상님께 상을 차리고 크게 지냈다. 음식은 시루떡, 과일 등 장을 보아서 장만한다.

    (2) 백중

    7월 15일을 백중이라 하여 칠석보다 더 크게 새었다. 강강술래, 윷놀이, 화투놀이를 하였으며, 농악대가 집집마다 돌아다니면서 먹는다. 백중날은 성주상을 차리며 강강술래를 하였다.

    (3) 7월 그믐

    7월 그믐에는 선산에 성묘한다. 산지기가 음식을 장만하며 절만 한다.

    (4) 8월 한가위(추석)

    8월 15월은 조상님께 밥과 음식을 장만하여 차례를 지내며 마루, 마당에 차려 놓는다. 사나흘 간 놀며 상에 놓지 않은 음식을 가지고 성묘를 간다. 머슴에게 옷과 버선을 새로 해주며 술, 고기, 과일을 가지고 성묘를 간다.
    8월 보름에 상을 차리되 인사는 안올린다. 음식으로 특별히 하는 것은 송편을 쌀로 만드는데 심은 깨, 사탕가리, 팥을 넣는다. 힘센 사람이 많아서 추석에는 씨름을 하는데 일등은 소를 타고, 이등은 쌀 한가마를 주었다.

    (5) 9월 중구

    9월 중구는 낙지 환갑이라 하여 동네 사람들이 낙지 잡아다가 삶아서 먹으며 음식을 차려 놓는다. 나락 가실과 보리갈이 때문에 바빠 중구를 새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5) 10월 문중 시제

    10월에 문중시제를 모시는데 제각에 또는 산에 음식을 장만한다.

    6) 11, 12윌 세시풍속

    (1) 11월 동지

    동짓날은 팥죽을 쑤어서 성주에게 차려 놓고 벽에다 뿌린다. 뿌리면서 “설보다 중한 동지가 들었으니 가정을 편히 해주쇼”라고 빈다. 팥죽 열두 그릇을 떠놓고 명년 농사점을 친다. 차례를 지낸 다음 팥죽 뿌리는 시간을 기다려서 벽에 팥죽을 뿌린다. 팥죽이 갈라지면 가뭄이 든다.
    동짓날 팥죽(떡국)을 해먹고 수리(독수리)가 돌아다니는데 어느 집 지붕에 앉으면 초상난다 하여 쫓는다. 팥죽을 뒤안에서부터 사방에 뿌려 뜰 밖이나 길 밖에 버린다. 성주님께 상을 차려놓고 열 두 접시에 죽물을 떠서 놓는데 이는 정월부터 섣달까지를 의미한다.

    (2) 12월 섣달그믐
    섣달 그믐에는 방, 변소, 마당, 소방, 돼지막, 칸칸이 저녁내 불을 켜놓고 목욕재기하며 설 준비를 한다.







글번호 제 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공지사항] 이곳 자료는 신안군지를 토대로 함
35 장산도․하의도의 세시풍속   신안문화원 2006/03/23 8676
34 안좌면 방월리 세시풍속   신안문화원 2006/03/23 4464
33 신의면 굴암리 굴암마을 배서낭·뱃고사·선기·기타   신안문화원 2006/03/23 3660
32 비금면 신원리 원평마을 배서낭·뱃고사·선기·기타   신안문화원 2006/03/23 3804
31 자은면 고장리 사월포마을 뱃서낭·뱃고사·용왕제   신안문화원 2006/03/23 7305
30 임자면 재원리 재원마을 뱃고사   신안문화원 2006/03/23 3619
29 임자면 삼두리 삼두마을 뱃서낭·뱃고사·선기   신안문화원 2006/03/23 3402
28 비금면 내월리 월포마을 대장군 장승과 장승제   신안문화원 2006/03/23 3859
27 도초면 외남리 외상마을 장승   신안문화원 2006/03/23 2876
26 도초면 고란리 고란마을 장승   신안문화원 2006/03/23 3448
25 지도읍 당촌리 후촌마을 할머니․할아버지 장성   신안문화원 2006/03/23 3153
24 안좌면 박지리 박지마을 당지(당제)   신안문화원 2006/03/23 3962
23 장산면 마율리 율도 당제   신안문화원 2006/03/23 3992
22 장산면 다수리 막금마을 당제   신안문화원 2006/03/23 3414
21 신의면 하태서리 굴암마을 당제, 거릿제   신안문화원 2006/03/23 3517
20 신의면 상태3구 모롱마을 당제, 거리제   신안문화원 2006/03/23 3800
19 흑산면 비리 마리마을 산제, 당제, 둑제   신안문화원 2006/03/23 3399
18 흑산면 비리 비리마을 당제   신안문화원 2006/03/23 2891
17 비금면 내월리 내촌마을 당제와 거릿제   신안문화원 2006/03/23 3625

page 1 2



(58753) 전남 목포시 수강로3번길 14 신안군별관 2층 / 전화 : 061) 242-8131 / 팩스 : 061) 243-8132 / sa8131@kccf.or.kr
COPYRIGHT 2006 SHINANCULTURE.NET. ALL RIGHTS RESERVED